earticle

논문검색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주간 졸음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 of Smartphone Addiction on Daytime Sleepiness in Nursing Students

이혜련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termine the extent of smartphone addiction and daytime sleepiness and the effect of smartphone addiction on daytime sleepiness among nursing students. A total of 187 nursing students were convenience sampled and surveyed using a questionnaire that included smartphone addiction, depression, sleep quality, and daytime sleepiness. Data analyses showed that the prevalence of smartphone addiction was 24.6%, sleep quality was 22.4 (±11.97), daytime sleepiness was 6.2 (±3.20), and the prevalence of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was 13.9%. The variables affecting daytime sleepiness were sleep quality (β =.44, p=.000) and smartphone addiction (β=.17, p=.010), which explained 22.5% of daytime sleepiness. Therefore,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sleep hygiene education programs, including guidelines for healthy smartphone use, and the activation of counseling programs are needed to promote sleep health among nursing students.

한국어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주간 졸음 정도를 파악하고, 스마트폰 중독이 주간 졸음에 미 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간호대학생을 편의 표집하여 스마트폰 중독, 우울, 수면의 질, 주간 졸음 등이 포함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187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스마트폰 중독은 24.6%이 었으며, 수면의 질은 22.4(±11.97)점, 주간 졸음 점수는 6.2(±3.20)점으로 주간 졸음증은 13.9%였다. 주간 졸음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수면의 질(β=.44 p=.000)과 스마트폰 중독(β=.17, p=.010)으로 나타나 주간 졸음의 22.5%를 설명하였다 그러므로 간호대학생의 수면 건강을 증진하기 위해 건강한 스마트폰 사용 가이드를 포함한 수면 위생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 그리고 상담 프로그램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2.1 연구 설계
2.2 연구 대상 및 자료수집
2.3 연구 도구
2.4 자료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3.1 일반적 특성
3.2 스마트폰 관련 특성
3.3 수면 관련 특성
3.4 우울, 스트레스, 수면 관련 특성과 스마트폰 중독 간의 상관관계
3.5 스마트폰 중독이 주간 졸음에 미치는 영향
Ⅳ. 논의
Ⅴ.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이혜련 Hyeryeon Yi. 나사렛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