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NST 훈련이 초등학생의 자기조절능력과 정서 성향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Effects of NST Training on Self-Regulation Ability and Emotional Disposi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안상균, 안용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ST(Neuro Sound Technology) training on the self-regulation ability and emotional disposi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e experiment were 50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4th, 5th, and 6th grades, and NST training was conducted three times a week. The period is from March 2022 to August 2022, and brain waves were measured to see the difference in self-regulation ability and emotional disposition before and after NST training. EEG measurements were performed using Neurobrain developed by the Korean Research Institute of Brain science, and brain function analysis program(BFM) was used for EEG analysis. As a result of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after post-measurement, the training mode was (t=2.665, p=.010), the maximum deviation was (t=-3.236, p=.002), and the emotional propensity difference was (t=-3.099, p=.004), showing positive changes in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value. Positive changes in self-regulation ability and emotional disposition suggest that NST training can induce self-directed learning by cultivating patience and improving attention and concentra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NST(Neuro Sound Technology) 훈련이 초등학생의 자기조절능력과 정서 성향에 미 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실험의 대상자는 초등학생 4, 5, 6학년 50명이며 NST 훈련을 주 3회 실시하였다. 기간은 2022년 3월부터 2022년 8월까지이며, NST 훈련 전후 자기조절능력과 정서 성향의 차이를 보기 위해 뇌파 를 측정하였다. 뇌파 측정은 한국뇌과학연구소에서 개발한 뇌파측정기(Neurobrain)를 통해 실시하였으며, 뇌파 분 석은 뇌기능분석 프로그램(BFM)을 사용하였다. 사후측정 후 독립표본 t-검정을 한 결과 자기조절능력의 훈련모드 (t=2.665, p=.010), 최대편차(t=-3.236, p=.002), 정서 성향 차이(t=-3.099, p=.004)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자 기조절능력과 정서 성향이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은 NST 훈련이 초등학생들의 인내심을 기르고 주의력과 집중력 을 향상시켜 자기주도학습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1.3 용어의 정리
1.4 연구가설
Ⅱ. 연구방법
2.1 연구대상자
2.2 연구설계
2.3 연구도구
2.4 측정지표
2.5 중재 방법
2.6 자료의 분석
Ⅲ. 연구결과
3.1 연구대상자 일반적 특성
3.2 두 집단의 정규성 검정
3.3 두 집단의 동질성 검증
3.4 두 집단의 사후 자기조절능력 비교
3.5 두 집단의 사후 정서 성향 비교
3.6 각 집단의 NST 훈련 전후 비교
Ⅳ.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안상균 Sang-Kyun Ahn. 한국뇌과학연구소 선임 연구원
  • 안용균 Yong-Kyun Ahn.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의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