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근대 <해와 달> 서사의 자료적 고찰 — 정인섭·손진태의 자료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Textual Study of the “The Sun and the Moon” in Modern Korea — Focusing on Jeong Inseop and Sohn Jintae’s materials

강상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rother and sister who become the Sun and the Moon” is a Korean narrative that is well-known as an old story and a modern traditional folktale. Jung Inseop’s “The Sun and the Moon” and Sohn Jintae’s “The Sun, Moon, and Star” are modern narratives that share the same content as “Brother and sister who become the Sun and the Moon.” This paper examines Jung Inseop’s “The Sun and the Moon” and Sohn Jintae’s “The Sun, Moon, and Star.” During the modern period, “Brother and sister who become the Sun and the Moon” was published in various print media in both Korean and Japanese. Jung Inseop’s and Sohn Jintae’s texts share the commonality of being written in Japanese by Korean authors. Jung Inseop’s “The Sun and the Moon” was written in 1911, making it the earliest source based on its date of writing. This text has the granting of the title ‘brother(male)-sun/sister(female)-moon’ and then the replacement of the title ‘sister-sun/brother-moon.’ This triggers a discussion about the mythology that explains the origins of the sun and moon. However, the expression that she shows ‘feminine modesty’ by being ashamed of her sister who has become the sun reveals a feudal perception of women that remains in modern narratives. In addition, Jung’s text actively utilizes the ‘Law of Repetition’ in the development of events. The tiger’s recognition of her actions as evil and her ‘lying’ to God out of fear of God’s punishment is the only scene that is not found in other sources. “Sun, Moon, and Star” by Shon Jintae is a text written in 1923. The text is characterized by its documentary nature. In this text, the subjects of the incident are not the ‘brother and sister’ but the ‘three sisters.’ This shows a variation of the story of “Brother and sister who become the Sun and the Moon” in the modern era. In Sohn’s text, the mother asks the tiger to eat her children instead of her to save her life. The children ‘lie’ to the tiger that is tracking them, showing the intersection of the children’s wisdom and the tiger’s foolishness. However, it is disappointing that Sohn’s text lacks paragraphs for the replacement of title, and that the law of repetition is not fully utilized in the scene where the tiger attacks the mother.

한국어

이 논문은 옛이야기와 전래동화로 잘 알려진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서사 내용을 지니고 있는 근대 텍스트인 정인섭(鄭寅燮)의 「해와 달(日と月)」과 손진태(孫晉泰)의 「해와 달과 별(日と月と星)」을 자료적으로 검토하고 그 텍스트 양상을 고찰하였다. 근대 시기에 「해와 달이 된 오누이」는 한글 또는 일본어 표기로 다양한 인쇄 매체에 수록되었는데, 정인섭과 손진태의 텍스트는 한국인 편저자가 일본어로 기록한 자료라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정인섭의 「해와 달」은 1911년에 채록된 텍스트로서 채록일을 기준으로 하면 가장 앞선 시기의 자료이다. 이 텍스트는 ‘오빠(남성)-해/누이(여성)-달’로의 직분부여 후에 ‘누이-해/오빠-달’로의 직분교체 내용을 지니고 있어 일월기원의 신화성과 관련된 논의를 촉발시킨다. 그러나 해가 된 누이에 대하여 그녀가 부끄러워하는 ‘여성스러운 겸손함’을 보여준다는 표현의 맥락에는 근대 시기의 서사에 남은 완고한 여성 인식의 일면도 엿보인다. 또한 정인섭의 텍스트는 사건 전개에서 ‘반복의 법칙’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호랑이가 자신의 행동을 악행으로 인식하고 하느님의 처벌을 두려워하여 하느님에게 ‘거짓말’을 하는 것은 다른 자료에서는 볼 수 없는 유일한 장면이다. 손진태의 「해와 달과 별」은 1923년에 채록된 텍스트이다. 이 텍스트는 구술 내용의 전사(傳寫)를 위주로 하여 기록물로서의 자료성이 두드러진다. 이 텍스트는 사건의 주체가 ‘오누이’가 아니라 ‘세 자매’로서, 이 점은 근대 시기에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이야기의 한 변이형을 보여주는 것이다. 손진태의 텍스트에서 어머니가 목숨을 구하기 위해 호랑이에게 자기 대신에 자식들을 잡아먹으라고 하는 장면도 이색적이다. 또한 자신들을 추적하는 호랑이에게 아이들이 ‘거짓말’을 함으로써 아이들의 지혜와 호랑이의 어리석음이 교차하는 설정을 보여준다. 그러나 손진태의 텍스트는 직분교체 단락이 결여된 점, 호랑이가 어머니를 가해하는 장면에서 ‘반복의 법칙’이 적극 활용되지 않은 점은 아쉬운 부분이다.

목차

국문 요약
1. 머리말
2. 정인섭의 자료와 텍스트 양상
1) 「해와 달」의 자료 검토
2) 「해와 달」의 텍스트 양상
3. 손진태의 자료와 텍스트 양상
1) 「해와 달과 별」의 자료 검토
2) 「해와 달과 별」의 텍스트 양상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강상대 Kang Sangdae. 단국대학교 문예창작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