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논문> 예술치료와 효문화예술

조선 후기 정재(呈才)에 나타난 효(孝)

원문정보

Filial Duty Appeared in Jeongjae at the Late Joseon Dynasty

조희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examines the royal family's Filial duty policy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examines the Filial duty shown in the royal court's Changsa editorial.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cinematic duty that appeared in Jeongjae during this period by selecting the Yeongjo and Sunjo periods, which are called the golden ages of culture since the founding of the Joseon Dynasty, are as follows. First, the Tangpyeong policy of the Yeongjo and Jeongjo periods was an effort to establish royal authority by implementing it one after another, and the royal family actively used Filial duty as a method of implementing political stability. Second, Yeongjo‘s Filial duty in the late Joseon Dynasty is ‘Sachinchuseung(私親追崇)’, Jeongjo‘s Filial duty is ‘Hwaseongseongyeok(華城城役)’, Soonjo's Filial duty is implied, it can be called 'YeonhyangJeongjae(宴享呈才)'. Third, the contents of the Jeongjae Changsa Editorial in the late Joseon Dynasty are editorials related to the legitimacy of the royal authority and the king's Mansumugang and Filial duty. Therefore, the spring scenery was praised more than autumn and winter, and there were many editorials suggesting Dasan in addition to the health and longevity of the king. Jeongjae preaches the contents related to cinematic duty through songs along with dance, which created the background for the culture and art trend of the Yeongjo and Jeongjo periods to bloom to the next generation, Prince Hyo Myung of the Sunjo period. Prince Hyo Myung expressed his dream of governing the world with Filial duty as Jeongjae.

한국어

본고는 조선 후기 왕실의 효 정책을 살펴보고 궁중정재(宮中呈才) 창사(唱詞) 사설에 나타난 효를 고찰하였다. 조선건국 이래 문화의 황금기라 칭하는 영·정조와 순조 시대를 선택하여 이 시기 정재에 나타난 효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정조대의 탕평책은 연이어 실행함으로써 왕권확립을 위한 노력이었으며, 왕실에 서 효를 정치안정의 실행방법으로 적극 활용하였다. 둘째, 조선 후기 영조의 효를 함축하면 ‘사친추승(私親追崇)’이고, 정조의 효는 ‘화성성역 (華城城役)’이며, 순조대의 효를 함축하면 ‘연향정재(宴享呈才)’라 할 수 있다. 셋째, 조선 후기 정재 창사 사설의 내용은 왕권의 정통성(正統性)과 왕의 만수무강과 효(孝) 에 관계된 사설들이다. 따라서 가을과 겨울보다 봄 경치를 예찬하였고, 군왕의 건강과 장수 이외에 다산(多産)을 암시하는 사설이 많았다. 정재는 춤과 함께 노래를 통해서 효(孝)와 관련한 내용을 설파하고 있는데, 이는 영·정조 시대의 문화예술 사조가 다음 세대인 순조대(純祖代) 효명세자에게 꽃피울 수 있는 배경을 만들어 주었다. 효명세자는 효로써 천하를 다스리려는 꿈을 정재로 표현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조선 후기 왕실의 효
Ⅲ. 정재 창사(唱詞)나타난 효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희순 CHO, HEE SOON. 금천국악원장, 성산효대학원대학교 석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