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논문> 예술치료와 효문화예술

효문화예술 콘텐츠의 전개와 미래의 전망

원문정보

Development and Future Prospects of Hyo Culture and Art Contents

박희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word "hyo" can infer the evidence from fossils from 1.8 million years ago that there was a "hyo-practice" even before its birth.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ustoms of human development, the meaning of filial piety has chang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human civilization, With modernity as the focal point, the trajectory of filial piety is examined through cultural and artistic works according to the paradigm of the pre-modern and post-modern times. Culture and art is narrower than "culture" and will be accepted in a greater sense than "art," and some of the Neanderthal remains discovered by archaeologists have been found to have survived for a long time despite serious physical disabilities, tracing the meaning of filial piety from evidence that relatives cared for. First of all, it can be assumed that the invention of the Bronze Age and Iron Age, which were the starting points of the agricultural revolution, formed a rule that was easy for collaboration between basic groups centered on blood ties as agricultural productivity increased. The rule was due to the need for a processed adhesive that could bind families and groups, and it can be explained that the processed adhesive would have been 'hyo'. On the other hand, since it was an agricultural-oriented settlement society, it is necessary to refer to the fact that the idea of family cooperation and worshiping ancestors appeared as a practical life of "hyo" and the case of explaining humans as holons. Pre-modern filial piety, culture, and art were mainly transmitted in a way of painting and explanation, and 24 filial piety are concentrated and handed down. The spirit of Confucianism is intensively transmitted, and filial piety in Buddhism and other religions is also transmitted as a work of culture and art. In the modern era, it was expanded to cultural and artistic work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media such as movies, and in the post-modern era, it developed into an expansion and development pattern while accepting cultural and artistic works of the pas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and organizes the development of filial piety through filial piety culture and art works suitable for each era.

한국어

‘효’라는 글자는 생기 전부터‘효행위’가 있었다는 180만 년 전의 화석에서 그 증거를 추론할 수 있다. 또한, 인류 발전 풍습에 따라,‘부모를 잘 섬기는 일’이라거나, ‘입신양명’,‘계지술사’의 의미 등으로 인류 문명의 발전에 따라 효행의 의미가 변천되어 오는 등 다양한 의미가 있다. 근대를 깃점으로 전근대와 탈근대의 시대적 패러다임에 따라 효의 궤적을 문화예술 작품을 통하여 살펴본다. ‘문화예술’이라 함은‘문화’보다는 좁고,‘예술’보다는 큰 의미로 받아들이기로 하고, 고고학 자들이 발견한 네안데르탈인의 유골의 일부는 심각한 신체적 장애를 지니고도 오래 생존한 것으로 판명되었는데, 이것은 친척이 돌보았다는 증거로부터 효의 의미를 추적한다. 먼저, 농업혁명의 단초가 된 청동기 및 철기의 발명은 농업 생산성이 높아지면서 혈연 중심 의 기초적 집단의 협업에 수월한 규율이 형성되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 규율은 가족 과 집단을 결속할 수 있는 가공의 접착제가 필요하였기 때문이며, 이 가공의 접착제가‘효’이 었을 것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한편, 농업 위주의 정주사회이었기에 가족의 협동과 조상을 숭배하는 사상이‘효’라는 실천 적 삶으로 나타난 것과 인간을 홀론으로 설명하는 사례를 참조할 필요가 있다. 전근대의 효 문화예술은 주로 그림과 설명의 방식으로 전수되었으며, 24효와 삼강행실도, 오륜행실도 등 으로 집약되어 전해 온다. 이는 유교의 정신이 집중적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불교와 다른 종 교에서의 효행위 등도 문화예술의 작품으로 전해진다. 근대에 접어들면서, 영화 등의 미디어 발달에 따른 문화예술 작품으로 확장되었으며, 탈근대에 이르러서는 과거의 문화예술 작품 을 수용하면서 확장 발전시키는 양상으로 발전하였다. 각 시대에 부합하는 효문화예술작품을 통하여 효의 발전을 살펴 정리함에 본 연구에 의의가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전근대 효문화 콘텐츠의 양상
1. 전근대 정신의 이해
2. 전근대 효문화예술의 이해
Ⅲ. 근대 효문화 콘텐츠의 발전
1. 근대 정신의 발전
2. 근대 효문화예술의 발전
Ⅳ. 탈근대 효문화 콘텐츠의 전망
1. 탈근대 정신
2. 탈근대 효문화예술의 미래 전망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박희원 Park, Hee-won. 성산효대학원대학교 효학과 부교수, 효학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