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세션 I : K-콘텐츠 제작과 이용의 변화

K-콘텐츠 유통전략의 변화와 지속

원문정보

초록

한국어

이른바 'K-콘텐츠'의 해외 성과 중심에는 영상콘텐츠가 자리한다. OTT의 등장은 영상콘텐 츠를 통한 한류 확산, 한국의 콘텐츠 제작역량에 대한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키는 데 주효하였 다. 영상콘텐츠 기획개발, 제작, 유통에 이르기까지 산업의 가치사슬을 통합 점유하는 새로운 플랫폼의 확산은 영상콘텐츠 유통시장 질서에 변화를 가져왔다. 과거에는 콘텐츠 제작사, 방 송사, 유통배급사 각각이 콘텐츠 기획·제작·편성·유통 업무를 분담해왔다면, OTT 사업자를 중 심으로 콘텐츠 제작투자 및 유통창구가 일원화됨으로써 새로운 거래구조가 형성되었다. 본 연 구는 영상콘텐츠 제작사 관점에서 변화한 플랫폼 환경, 유통구조에 대한 진단 시도한다. 전체 가치사슬 구조를 실질적으로 경험한 사업자의 시선에서 변화한 플랫폼 환경을 평가하고, 다양 한 콘텐츠 수요처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였다. 장르별 콘텐츠 제작사 대표 및 임원, 유관 협단 체 관계자 9인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더하여 인식의 경향성 파악을 목 표로 관계자 9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그동안 넷플릭스를 통한 성 공사례 축적으로 관련 담론이 글로벌 OTT를 중심으로 형성되어 왔으나, 실제 영상콘텐츠 기 업은 콘텐츠 제작경험, 활용 가능한 콘텐츠 IP, 제작비 자체 조달 가능성, 해외시장 네트워크 등을 토대로 거래 대상을 규정하고 있었다. 사업자 입장에서 전통적 콘텐츠 수요처로 논의되 는 국내외 방송사는 OTT 사업자라는 신규 유통창구와 함께 여전히 주요한 거래대상으로 인 식되고 있었다. 변화한 플랫폼 환경은 콘텐츠 유통창구, 즉 거래대상의 확장을 의미하는 것 일뿐 기존 거래선에 대한 부정을 의미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대목이다. 한편, 한국 콘텐츠의 핵심 수요처인 OTT에 대한 인식조사 결과, 글로벌 OTT 사업자의 성격을 결정짓는 대표적 특 징은 '콘텐츠 노출 범위', '제작 포트폴리오 축적', '높은 제작비'이며, 국내 OTT의 정체성은 ‘한국 영상콘텐츠에 대한 투자 및 구매를 지속할 것’이라는 기대와 맞물려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플랫폼의 확장세는 콘텐츠 유통전략의 변화, 또는 지속 필요성에 대한 사업자의 판 단으로 이어졌다. 전문가 인식을 파악하는 작업은 지금의 K-콘텐츠 산업의 위상이 정립되는 데 콘텐츠 유통창구에 대한 사업자의 이해, 그에 맞춘 역량과 자원 배치 전략이 주효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긍정적 상황을 지속하기 위해 필요한 지점이 무엇인지, 점검을 가 능케 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저자정보

  • 오하영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