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한국어
최근 미디어산업의 태풍의 눈은 OTT 서비스이다. 네트워크와 디바이스 기술의 발달로 OTT 서비스의 이용은 더욱 편리해지고 이용자는 계속 확대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콘텐츠 제작자와 유통 사업자도 OTT 소비 흐름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본 연구는 OTT 이용에서 나타 나는 이용자의 능동적인 행동인 몰아보기와 사회적 시청에 주목하여, 그것이 OTT 이용에 미 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콘텐츠 이용 중 몰입이라는 인지적인 감정을 매개 변인 으로 하여, 콘텐츠에 대한 몰입이 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설정된 연구문제와 가설 검증을 위해 서울소재 2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 생 302명을 대상으로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몰아보기와 사회적 시청 행위는 콘텐츠 몰입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 한 몰아보기할 때 주로 사용하는 디바이스를 비교했을 때, 응답자들은 콘텐츠를 노트북 컴퓨 터로 시청하기보다 TV 수상기로 시청할 때 콘텐츠에 대한 더 강한 몰입을 느낄 수 있었다. 해당 연구결과는 사용하는 디바이스에 따라 콘텐츠 몰입에 차이가 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추가 분석을 통해서는 몰아보기를 할 때 이용자들은 [더 글로리]와 같이 사회적으로 반 향이 큰 이슈를 다루고 있거나 장르 특성상 호기심을 자극하는 범죄/복수/스릴러 장르 드라 마에서 몰입이 더 강해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몰아보기와 사회적 시청 행위는 OTT 서비스의 만족과 지속이용의도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몰아보기와 서비스 만족 사이의 관계에서, 그리고 몰아보기와 서비스의 지속이용의도 사이의 관계에서도 콘텐츠 몰입은 부분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넷째, 사회적 시청 행위의 하위요인 수용 활동, 생산 활동, 공유 활동 각각이 서비스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콘텐츠 몰입은 부분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마찬가지로 수용 활동, 생산 활동, 공유 활동 각각이 서비스 지속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도 콘텐츠 몰입은 부분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OTT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서비 스의 지속이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OTT는 다양한 콘텐츠를 소비자들에게 제공하는 플랫폼이라는 점에서 콘텐츠는 OTT 서비 스의 정체성을 결정짓는 요인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본 연구는 OTT 서비스를 통해 콘텐츠를 시청하는 과정에 얻게 되는 콘텐츠에 대한 몰입이 능동적인 시청행위와 서비스 이용 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또한 OTT 서비스 환경에서 능동적인 시청행위인 몰아보기와 사회적 시청 두가지 행위를 모두 포함하여 그들이 OTT 서비스 전반 이용에 미치는 영향력 검증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또 다른 의의를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