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천태의 지관수행법과 그 현대적 의미

원문정보

Tiantai’s Śamatha Vipaśanā Practice and its Modern Meaning

이병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article, I will introduce Tiantai’s śamatha-vipaśanā practice and examine its modern meaning. Chapter 2 examines 25 expedients, and 25 expedients correspond to preliminary practice in Tiantai’s śamatha vipaśanā practice. These 25 expedients can be broadly approached in three parts. That is the general part, controlling negative mind and developing positive virtues. We can read concreteness of practice in 25 expedients. In chapter 3, we examine four kinds of samādhi. Four kinds of samādhi are classified based on the external form of samādhi. And its practical content includes sitting meditation practice, chanting practice, esoteric practice, and practice that is not limited by format. We can see inclusiveness of practice in four kinds of samādhi. In Chapter 4, we review ten objects ten vehicle meditation. Ten objects presents 10 objects to contemplate, which are presented to prepare for when problems are revealed while practicing śamatha-vipaśanā. And ten vehicle meditation is 10 methods of contemplating. Practicing ten vehicle meditation about ten objects to introduce earlier is ten objects ten vehicle meditation. We can see rigorousness of practice in this ten objects ten vehicle meditation. And I think that the essential perspective presented in Tiantai’s śamatha-vipaśanā practice includes the content that modern practice should pursue.

한국어

이 글에서는 천태의 지관수행법을 소개하고 그것의 현대적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Ⅱ장에서는 25방편을 살펴보는데, 25방편은 천태지관에서 예비적 수행에 해당한다. 이 25방편은 크게 3부분으로 접근할 수 있다. 그것은 총론에 해당하는 부분, 부정적인 마음을 다스리는 것, 긍정적인 덕목을 개발하는 것이다. 25방편에서 ‘수행의 구체성’을 읽을 수 있다. Ⅲ장에서는 4종류 삼매에 대해 알아본다. 4종류 삼매는 삼매를 외적 형식에 근거해서 구분한 것이다. 그리고 그 실질적 내용은 좌선수행, 염불수행, 밀교적 수행, 형식에 구애받지 않은 수행을 포함하는 것이다. 4종류 삼매에서 ‘수행의 포용성’을 파악할 수 있다. Ⅳ장에서는 십경십승관법에 대해 검토한다. ‘십경’은 관조할 대상으로 10가지를 제시한 것인데, 이는 지관을 닦다가 문제점이 드러나면 대비하기 위해 제시된 것이다. 그리고 ‘십승관법’은 관조하는 10가지 방법이다. 앞에 소개한 ‘십경’에 대해 ‘십승관법’을 실천하는 것이 십경십승관법이다. 이 십경십승관법에서 ‘수행의 엄밀성’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천태지관의 수행법에서 제시된 핵심적 관점은 현대의 수행법이 추구해야 할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목차

국문 초록
Ⅰ. 서론
Ⅱ. 25방편: ‘수행의 구체성’이 드러남
1. 5가지 연을 갖춤[具五緣]
2. 5가지 욕심을 경계함[呵五欲]
3. 5가지 번뇌를 버림[棄五蓋]
4. 5가지 일을 조복함[調五事]
5. 5가지 덕목을 행함[行五法]
Ⅲ. 4종류 삼매: ‘수행의 포용성’이 나타남
1. 상좌삼매(常坐三昧)
2. 상행삼매(常行三昧)
3. 반행반좌삼매(半行半坐三昧)
4. 비행비좌삼매(非行非坐三昧)
Ⅳ. 십경십승관법(十境十乘觀法): 수행의 엄밀성을 추구함
1. 십경(十境): 관찰할 대상
2. 십승관법(十乘觀法)
Ⅴ. 결론: 천태지관 수행법의 현대적 의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병욱 Lee, Byung-Wook. 고려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