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법무부 사회통합프로그램 강사의 아프카니스탄 특별기여자 교육 경험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Education Experience of Special Contributor in Afghanistan by the Ministry of Justice's Korea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 lecturer

허숙, 손예림, 윤혜성, 오유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teaching special contributors in Afghanistan and derive meaning for lecturers who are teaching Korean, Korean culture, and Korean society understanding in the Ministry of Justice's Korea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 (KIIP). (Research method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case analysis after an in-depth interview with six lecturers with more than three years of experience as a Korea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 (KIIP) lecturer and more than two semesters of educational experience for special contributors in Afghanistan. (Findings) First, the special contributors in Afghanistan seemed to have deep ties with each other during the migration process to Korea and were passive in exchanges with migrants other than their own citizens. Second, Afghanistan special contributors were receiving policy benefits such as government welfare, employment, and education. The Korea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 (KIIP) was recognized as necessary to extend visas. Third, Afghanistan special contributors were participat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at was different from their Korean language proficiency level. Fourth, Afghanistan special contributors are participating in intermediate-level classes due to the re-acceptance regulations of the Korea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 (KIIP), but there were cases where they were actually at the basic level of Korean. Fifth, Afghanistan special contributors sometimes behaved rudely toward teachers or other learners in Korea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 (KIIP) classrooms. (Conclusion and recommendation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re-establish the relationship for Afghanistan special contributors to exchange with community members. Second, it will be necessary to adjust the standards or regulations for completion of the Korea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 (KIIP) for special contributors to Afghanistan. Third, it is necessary to provide customized educational information and curriculum for each characteristic of learners for special contributors to Afghanistan. Fourth, a kind but principled standard of policy benefit for special contributors will be needed. Fifth,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etiquette in the public domain for special contributors in Afghanistan and the public nature of education and culture in Korean society.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Korean culture or life field experience learning for special contributors in Afghanistan will be added to motivate them to settle down. Second, there will be a need for volunteer programs that can participate in various volunteer activities in the community. Third, for the stable settlement of the special contributor system, the overall support system and social integration curriculum necessary for life in Korea need to be reorganized.

한국어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법무부 사회통합프로그램(KIIP)에서 한국어와 한국문화, 한국사회이해 교육을 하 고 있는 강사를 대상으로 아프카니스탄 특별기여자 교수 경험을 탐색하고 의미를 도출하여 아프카니스탄 특별기 여자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대상은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강사로서 경력 3년 이상이며, 아프가니스탄 특별기여자 대상 으로 2학기 이상 교육 경험이 있는 강사 6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한 후에, 사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아프카니스탄 특별기여자들은 한국으로의 이주 과정을 함께 한 이들 상호 간 유대가 깊어보였 으며, 자국민 이외의 이주민들과의 교류에는 소극적이었다. 둘째, 아프카니스탄 특별기여자들은 정부의 복지, 취 업, 교육 등 정책 시혜를 받고 있었다. 사회통합프로그램(KIIP)은 비자 연장을 위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 다. 셋째, 아프카니스탄 특별기여자들은 자신의 한국어능력 수준하고 상이한 한국어교육에 중복 참여하고 있었 다. 넷째, 아프카니스탄 특별기여자들은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재이수 규정으로 인해 중급단계 수업에 참여하 고 있지만 실제 한국어기초 단계 수준인 경우도 있었다. 다섯째, 아프카니스탄 특별기여자들은 사회통합프로그 램(KIIP) 교실 등에서 교사나 다른 학습자에 대해 무례하게 행동하는 경우도 있었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프카니스탄 특별기여자들이 지역사회 구성원들과 교류를 위 한 관계의 재정립이 필요하다. 둘째, 아프카니스탄 특별기여자 대상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수료 기준이나 규정 을 조정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셋째, 아프카니스탄 특별기여자 대상 학습자 특성별 맞춤식 교육정보 제공 및 교육 과정이 필요하다. 넷째, 특별기여자 대상으로 하는 친절하지만 원칙있는 정책 시혜 기준이 필요할 것이다. 다섯째, 아프카니스탄 특별기여자 대상 공적 영역에서의 예절과 한국사회의 교육이나 문화 공공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프카니스탄 특별기여자 대상 한국문화나, 생활 현장 체험 학습이 추가되어 정착에 대한 동기부여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지역사회에서 다양한 봉사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자원봉사 프로그 램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특별기여자 제도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한국 생활에 필요한 전반적인 지원체계 와 사회통합 교육과정이 재정비될 필요가 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이해
2. 아프카니스탄 특별기여자 이해
Ⅲ. 연구방법
1. 연구개요
2. 사례연구
3. 연구참여자
4. 자료수집 및 분석
Ⅳ. 연구 결과
1.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강사의 교육경험 사례
2.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강사의 아프간 특별기여자 교육 경험 사례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허숙 Sook Heo. 인하대학교 국제관계연구소 전임연구원, 인하대학교 대학원 다문화교육학과 초빙교수
  • 손예림 Yelim Son. 인하대학교 대학원 다문화교육학과 박사과정
  • 윤혜성 Hyeseong Youn. 인하대학교 다문화교육학과 박사과정
  • 오유정 You jung Oh. 인하대학교 대학원 다문화교육학과 석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