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general situation and problems of layoff crisi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fter announcement of 2022 revised music curriculum (proposal) and to voice that best efforts should be taken to not go over such crisis again.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according to such purpose, is laid out in chronological order. In the first chapter, problems arising from the 2022 revised music education curriculum (proposal) and the research from department of education which the curriculum is based on are pointed out, and in the second chapter, the major clashes of this issue have been thoroughly dealt, and in the third chapter,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field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has responded to the crisis is covered in depth, in chronological order. All figures in Korean traditional music, including living cultural assets, held a cultural festival in an open space like Chungye plaza that no one ever experienced in the histor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crisis. By hosting a cultural festival which had the characteristic of beautiful cultural event where those in the field of Korean traditional music can enjoy through traditional cultural performances prepared by talent donations of people in the field, the field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made every effort by coming together to convey the message to the large audience that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should not be reduced or eliminated from public education. while the field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went through hardships from 2nd research which started on June 2022 until the announcement of 2022 final revised curriculum for music education, the intention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were eventually accomplished under unified consent that Korean traditional music must be taught in school.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2022년 4월 중순,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시안)이 발표되고 국악교육 퇴출 위기 사태를 겪으면서, 이러한 사태 발생의 중요 상황과 문제점들에 대해 전체적으로 파악해 보고, 이를 통해 이러한 위기 상황을 두 번 다시 겪지 않기 위한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기 위함이다. 이러한 목적에 따른 연구 내용은 시간의 흐름 배열을 가장 염두에 두고 기술하였으며, 1장에서는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시안)의 기초 연구가 되는 교육부 정책연구에서부터 비롯된 문제점들에 대해 지적하 였고, 2장에서는 시안의 주요 쟁점들을 면밀히 살펴보았으며, 3장에서는 국악(교육)계가 이러한 사태를 어떻게 대응해 나갔는지 그 과정을 순서대로 기술하였다. 무형문화유산 보유자들을 비롯해 전국의 모든 국악인들은 청계광장과 같이 열린 공간에서 국악교육의 역사에 있어서 그 이전에는 단 한 번도 경험한 바 없는 2022년 5월 15일 전 국악인 문화제를 개최하면서, 국악교육 위기 사태 극복을 위해 한데 모였다. 국악인들의 재능기부로 준비한 전통문화 공연을 우리 국악인 들 스스로 즐기는 아름다운 문화행사의 성격을 띤 전 국악인 문화축제로 개최하면서 우리 국악(교육)계는 온전히 하나가 되어 공교육 현장에서 국악교육이 축소되거나 퇴출 되어서는 안 된다는 메시지를 많은 사람들에게 전하고자 모든 노력을 다하였다. 이후 2022년 6월부터 시작된 2차 연구와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이 최종 확정 고시되기까지 국악(교 육)계는 여러 어려움을 겪었지만, 학교 교육에서 국악을 반드시 가르쳐야 한다는 뜻에 모두 하나가 되어 결국 국악계의 뜻이 관철되었다.
목차
Ⅰ. 여는 글
Ⅱ. 교육부 정책연구의 문제점
Ⅲ.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시안)의 주요 쟁점
Ⅳ. 2022년 국악교육 퇴출 위기 사태를 겪으며
Ⅴ. 닫는 글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저자정보
참고문헌
- 1교육부,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2] 음악과 교육과정』, 세종: 교육부, 2015.
- 2교육부, 『포스트코로나 대비 미래지향적 체육 예술 교과군 교육과정 구성 방안 연구』, 교육부 정책연구최종보고서, 2021.
- 3교육부,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 발표”, 교육부 보도자료, 2021. 11. 24.
- 4교육부, 초 중등학교 및 특수교육 교육과정 개정안 행정예고, 교육부 보도자료, 2022년 11.09.
- 5김해숙·백대웅·최태현, 『전통음악개론』, 어울림, 1995.
- 6이상규,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음악교과서에 나타난 국악 가창 내용 연구 , 『초등교육연구』 제30권 2호, 전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9, 289~306쪽.
- 7이상규,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음악교과서에 나타난 국악 감상곡 연구 , 『초등교육연구』 제31권 2호, 전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345~365쪽.
- 8이상규,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음악교과서에 나타난 국악 창작내용 연구 , 『초등교육연구』 제32권 2호, 전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423~443쪽.
- 9이영희 명인과 11명의 국가무형문화재 예능보유자,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시안)에 드러난 국악교육 퇴출 위기 관련 성명서 발표”, 국가무형문화재 국악 관련 보유자 단체, 2022. 5. 4.
- 10이용식, 한국음악학에서 음악적 시간의 개념과 요소에 관한 담론 , 『한국음악연구』 제73집, 한국국악학회, 2023, 77~99쪽.
- 11전국국악교육자협의회, “새정부, 학교교육에서 국악이 사라진다”,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졸속 개발 규탄 성명서 발표, 2022.
- 12전국국악교육자협의회, “음악과 교육과정 개정과 국악교육”, 2022 전국국악교육자협의회 국회 세미나, 2022. 10. 06.
- 13전국악인 비상대책위원회, “5월 15일 전 국악인 문화제 개최 성과”, 전국악인 비상대책위원회 보도자료, 2022. 5. 16.
- 14정은경,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즐거운 생활 교과서를 통해 본 학교 국악교육의 문제와 대책방안 , 『국악교육』 제29집, 한국국악교육학회, 2010, 199~214쪽.
- 15정은경, 2015 개정 초등 음악교과서의 ‘생활 속의 국악’ 내용 고찰 , 『국악교육』 제45집, 한국국악교육학회, 2018, 189~211쪽.
- 16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새 정부에 바란다. 음악과 교육과정의 개발과 대안”, 춘계학술대회 및 특별기획세미나자료집, 2022.
- 17“신영희 명창 ‘무형문화재 반납하겠다’ 교육부 일방적 결정에 분노” <서울신문>, 2022.05.17. (https://news.v.daum.net/v/20220517130104796), 접속일자 2022.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