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수변환경 생태를 중심으로 한 압록강하구 물류중심도시 건설방안

원문정보

Construction Plan for a Logistics Center City at the Yalu River Estuary focusing on Waterside Environment Ecology

임동성, 김준봉, 노경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s the water resources and ecological environment of the Yalu River estuary, which is expected to grow as a major logistics center in Northeast Asia. The Yalu River has supplied water and energy to North Korea and China, however it continues to cause water pollution in the estuary due to the eutrophication and the increasing heavy metal elements caused by waste water. The results of local water ecology studies and the similar overseas cases were analyzed in the study. After examining the environmental issues related to logistics, it identifies the main considerations for the construction of waterfront logistics centers and examines promising construction area. In the future, the Yalu River estuary should continue to grow into an environmentally friendly waterfront logistics center where the two countries cooperate each other. To this end, ICT-based twin smart city development can be considered, and the green logistics concept should be reflected by utilizing smart water technologies such as low-impact development (LID). As for the regional location of the logistics center, Dandong New District and Hwanggumpyong area, where the logistics is currently in operation or planned, can be considered as priority construction area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동북아시아의 주요 물류 중심지로 성장이 기대되는 압록강 하구의 수자원과 생태환경을 조사 하여, 그 지역에서의 향후 물류중심도시 건설방안의 타당성을 분석하고, 건설을 위한 기본구도를 제시하고자 한 다. 압록강은 북한과 중국의 물과 에너지 공급원으로서의 역할을 해왔으나, 현재는 폐수로 인한 부영양화와 중 금속 성분 증가로 하구 수질오염이 지속되는 환경에 처하여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국내 수생태 연구 결과와 유 사한 해외 사례를 또한 분석 한다. 물류와 관련된 환경 이슈를 검토한 후 수변 물류센터 건설 시 주요 고려사항 을 파악하고 유망한 건설 지역을 검토 한다. 앞으로 압록강 하구는 한반도와 중국이 상호 협력하는 친환경 수변 물류센터로 발전해 나갈수 있다. 이를 위하여 ICT 기반의 트윈 스마트시티 개발을 고려할 수 있으며, 저영향개 발(LID) 등 스마트워터 기술을 활용하여 녹색물류 개념을 또한 고려해야 한다. 물류센터의 지역적 입지로는 현 재 물류가 운영 중이거나 계획 중인 단동신구와 황금평 지역을 우선 건설지역으로 고려할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Ⅱ. 압록강 하구와 황해 연안의수생태 환경 문헌검토
2.1 황해 연안과 압록강 유역에 대한 선행연구
2.2 압록강 유역의 수자원 및 수질오염 현황
2.3 압록강과 맞닿은 황해연안 생태계 현황
2.4 접경지역 수환경 보호 국제사례: 유럽 라인강
Ⅲ. 압록강 하구의 물류중심으로의 발전 전망
3.1 단둥-신의주의 위치, 주변 교통 인프라 현황 및 발전 전망
3.2 압록강 하구의 물류 인프라 발전 현황 및 전망
Ⅳ. 접경지역 수변 물류중심 도시 건설방안
4.1 압록강하구 개발의 전략적 기본 방향
4.2. 연관 기술분야의 적용을 통한 수변물류중심도시 계획 방안
Ⅴ. 결론
5.1 요약 및 결론
5.2 기업경영의 실무적 시사점
5.3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임동성 Lim Dongsung. 심양건축대학교 시정환경공정학원 박사과정
  • 김준봉 Kim June Bong. 심양건축대학교 교수
  • 노경호 Roh Kyung-Ho. 대림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