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술 융합(TC)

마이크로러닝 콘텐츠 기반 비교과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학습몰입, 학습의욕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Effects on Micro-learning Contents on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Flow and Learning Motivation based on Extracurricular Program

곽찬미, 이동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a Micro-learning content-based extracurricular program among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A survey was conducted on 600 students affiliated with G University, a major national university. Learning immersion and learning motivation were used as the key indicators for measuring the learning effects. Cronbach’s α coefficient analysis was performed to validate the reliability of the learning effect measurement tool. Independent sample t-tests were utilized to analyze differences in learning immersion and learning motivation based on gender and major discipline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was employed to measure differences in learning immersion and learning motivation according to academic year. According to the research findings, gender and academic year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participation in the Micro-learning content-based program. However, differences in learning immersion and learning motivation were observed depending on the major discipline. Based on this, it is suggested that future programs should provide suitable environments and stimuli based on the students' major disciplines.

한국어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마이크로러닝 콘텐츠 기반 비교과 프로그램의 효과를 일반적 특성에 따라 분석하였다. 거 점 국립대학 G대학교 소속 학생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학습몰입과 학습의욕을 학습효과 측정의 주요 지표로 사용 하였다. 학습효과 측정 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 분석을 실시하였다. 성별과 전공계열에 따른 학습몰 입, 학습의욕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결과를 분석하였고. 학년에 따른 학습몰입, 학습의욕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집단 간 일원분산분석(ANOVA)을 통해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성별과 학년은 마이크로러닝 콘텐츠 기반 프로그램 참여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전공계열에 따라 학습몰입과 학습의욕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를 바탕 으로향후프로그램은전공계열에따라적절한환경과자극을제공해야할것으로나타났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마이크로러닝
2. 비교과 프로그램
3. 학습몰입
4. 학습의욕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방법 및 절차
3. 연구 도구
4. 자료 분석 방법
Ⅳ. 연구 결과
1.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2. 연구 대상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습효과의 차이
Ⅴ.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곽찬미 Gwak Chan Mi. 정회원, 경상국립대학교 교육혁신처 연구원
  • 이동엽 Dong Yub Lee. 정회원, 경상국립대학교 교육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