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융합(CC)

보완대체요법을 활용한 긍정심리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부정적 정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자기자비, 플로리시에 미치는 효과

원문정보

The effect of Positive psychology program us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on Negative emotions,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Self-Compassion, and Flourish of Nursing students

박향진, 장현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mprove the mental and psychological health of nursing students through the intervention of positive psychological programs using complementary alternative therapy. This study appli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 and post-test design to verify the effects of negative emotions,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self-compassion, and flourish in nursing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is the students who received the positive psychology program us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and the control group is the students who did not receive the progra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Version 21.0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self-compassion, and flourish scores and lower negative emotion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participate in the education. After applying the positive psychology program us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it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the nursing intervention area using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by reporting positive research effects o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self-compassion, and flourish.

한국어

본 연구는 보완대체요법을 활용한 긍정심리프로그램 중재를 통하여 간호대학생의 정신적, 사회 심리적 건강향 상을 위하여 시도되었다. 보완대체요법을 활용한 긍정심리프로그램을 제공받은 간호대학생을 실험군으로 프로그램을 제공받지 않은 간호대학생을 대조군으로 선정하여 간호대학생의 부정적 정서(우울, 불안, 스트레스), 진로결정 자기효 능감, 자기자비, 플로리시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 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 설계를 적용한 연구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군은 교육에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진 로결정 자기효능감, 자기자비, 플로리시 점수가 높았고, 부정적 정서 점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완대체요법을 활용한 긍정심리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진로결정 긍정적인 연구 효과를 보고함으로 보완대체요법을 활용한 간호중재 영역 확대에 기여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및 가설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
3. 측정도구
4. 중재적용
5. 자료수집
6. 자료분석
Ⅲ. 연구결과
1.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검증
2. 실험군과 대조군의 종속변수에 대한 동질성검증
3. 가설검증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박향진 Hyangjin Park. 정회원, 가톨릭꽃동네대학교 간호학과교수
  • 장현정 Hyun-Jung Jang. 정회원, 가톨릭꽃동네대학교 간호학과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