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융합(CC)

대학생의 건강지각, 사회적 지지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원문정보

Effects of Health Perceptions and Social Support on Health Promotion Behaviors among College Students :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박수정, 이아름, 윤병길, 박정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e attempte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erception, social support,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among university students and to provide basic data to improve health promotion behavior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a sample of 173 university students in City C. Health promotion behavior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t=3.892, p<.001) and major satisfaction(F=5.867, p=.003)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grade, major field, hospitalization or surgery experience in the last three years, and economic activity. Health promotion behavior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ealth perception (r=.439, p<.001), social support (r=.532, p<.001), and self-efficacy (r=.533, p<.001)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Ζ=3.964, p<.001) on the effect of health perception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self-efficac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Ζ =4.24, p<.001) on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health support,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among college students and prepare intervention measures to improve health promotion behavior.

한국어

우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건강지각, 사회적 지지, 건강증진행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파악하 고 건강증진행위를 향상시키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진행하였다. C 도에 소재 대학생 173명을 대상으로 구조 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 수집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행위는 성별(t=3.892, p<.001), 전공 만족도 (F=5.867, p=.003)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이, 학년, 전공계열, 최근 3년간 입원 혹은 수술 경험, 경제활동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건강증진행위는 건강지각(r=0.439, p<.001), 사회적 지 지(r=.532, p<.001), 자기효능감(r=.533, p<.001)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건강지각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자기효능감이 부분 매개효과(Ζ=3.964,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 적 지지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자기효능감이 부분 매개효과(Ζ=4.24,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에 따라 대학생의 건강지지,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건강증진행위를 향상시 키는 중재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2. 연구목적
Ⅱ.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
3. 연구도구
4. 자료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연구변수의 기술통계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 건강지각, 사회적지지, 건강증진행위
3. 자기효능감, 건강지각, 사회적 지지, 건강증진행위의 상관관계
4. 건강지각, 사회적 지지와 건강증진행위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Ⅴ. 논의
Ⅵ.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박수정 Su Jeong Park. 준회원, 건양대학교 응급구조학과 학생
  • 이아름 A Reum Lee. 준회원, 건양대학교 응급구조학과 학생
  • 윤병길 Byoung Gil Yoon. 정회원, 건양대학교 응급구조학과 조교수
  • 박정희 Jung Hee Park. 정회원, 건양대학교 응급구조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