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융합(CC)

옥외광고를 활용한 공공 콘텐츠 사례연구 : 시각적 특성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Case Study of Public Contents in Out-Of-Home Advertising : Focused on Visual Characteristics

김운한, 정현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d the creative properties of public service advertisements and public content in outdoor advertising. The results of a case analysis focusing on outdoor advertisements for fundraising are as follows. First, government ministries were mainly found as advertisers. Second, most of the advertising messages were about policy promotion by the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s, with few public content or public interest messages. Third, in terms of expression, text took up more weight than visual elements, and illustrations were the main visual expression element. This proves that the public content of domestic outdoor advertisements mainly has a strong purpose of conveying direct information.

한국어

본 연구는 공공매체 성격이 강한 옥외광고에서 공익광고 및 공공 콘텐츠의 크리에이티브 특성을 분석한 것이다. 기금조성용 야립광고를 중심으로 사례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광고주체는 주로 정부 부처였으며 지자제 광고는 발견되지 않았다. 둘째, 광고 메시지는 대부분 정부와 공공기관 등의 정책홍보에 관한 내용이며, 기타 공공 콘텐츠 또는 공익 메시지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셋째, 표현 측면에서는 텍스트가 시각적 요 소보다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시각적 표현요소로 일러스트레이션이 주를 이뤘다. 이는 국내 야립광고의 공공 콘텐츠들이 주로 직접적인 정보 전달 목적이 강한 것을 의미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연구 목적 및 필요성
Ⅱ. 이론적 논의
1. 기금조성용 옥외광고와 공공 콘텐츠
2. 옥외광고 공공 콘텐츠 영역과 사례
3. 옥외광고 크리에이티브의 카피와 시각적 요소
III. 연구방법 및 연구 결과
1. 연구방법 개요
2. 분석대상 및 항목
3. 연구 결과
IV. 결론
1. 결과요약
2. 시사점, 한계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운한 Kim, Woon-Han. 정회원, 선문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
  • 정현주 Jeong, Hyeon-Ju. 정회원, 가톨릭관동대학교 광고홍보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