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 융합(CC)

통일신라시대 와당을 모티브로 한 주얼리장식용 문양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Jewelry decorative pattern based on Wa-Dang in Unified Silla period

김경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premise of the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using relic assets of traditional culture in a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led by culture and soft power. It was conducted in the context of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cultural content products of Wa-Dang relics excavated from traditional architecture in the Unified Silla Period and expanding the scalability of commercialization motifs that are highly useful in jewelry design. First, the original form, material, use, size, meaning, and formative aesthetics of Wa-Dang were identified through literature and media research. Among the considered Wa-Dang, 10 types of Wa-Dang which represent the category and have values in modules and patterns were selected, and, then, circular images were extracted and modularized with a "formal simplification technique." Based on the "mathematical symmetry analysis technique," which is a method of systematizing pattern composition arrangement format. we derived a planar formative element that can be used in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and jewelry design. In order to expand its usability in the jewelry industry in the future, it was presented as a 2D digital image. In the future, we hope more studies on the various cultural content industry utilizing the traditional culture will be carried out.

한국어

본 연구는 문화 & 소프트 파워(soft power)가 주도하는 지식정보사회에 있어서 전통문화의 유물자산을 활용한 문화상품 개발을 전제로 진행하였다. 통일신라시대 전통건축에서 출토된 와당 유물의 문화콘텐츠 상품 가능성을 탐색 하고 주얼리 디자인에 활용성이 높은 상품화 모티브의 확장성을 넓히는 맥락에서 진행되었다. 먼저 문헌과 매체 연구를 통하여 와당의 원형과 소재, 용도, 크기, 의미, 조형적 심미성을 파악하였다. 고찰된 와당중 에서 카테고리별 대표성과 모듈․패턴화 가치가 있는 10종류의 와당을 선택하여 ‘형태적 단순화 기법’으로 원형이미 지를 추출․모듈화하였다. 문양구성 배열형식 체계화 방법인 ‘수학적 대칭성 분석기법’에 근거하여 문화콘텐츠산업 및 주얼리디자인 개발시에 활용할 수 있는 평면적 조형요소를 도출하였다. 향후 주얼리산업에서의 활용성 확대를 위하여 2D 디지털이미지로 제시하였다. 향후에도 전통문화를 매개로 하는 다양한 문화콘텐츠산업에 관한 연구가 더한층 활 성화되기를 기대한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구성 및 방법
Ⅱ. 와당 유물의 이론적 배경 및 고찰
1. 기와와 와당의 역사
2. 기와와 와당의 종류와 형태
Ⅲ. 주얼리 장식 활용을 위한 신라와당문양 개발
1. 통일신라 와당문양의 주얼리 장식 활용 가능성
2. 통일신라 와당 문양 개발을 위한 모티브 분석
Ⅳ. 주얼리 장식 활용을 위한 패턴 모듈 개발
Ⅴ.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경태 kyeng-Tae Kim. 정회원, 가야대학교 귀금속주얼리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