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주민참여를 기반으로 한 문화공간 스토리텔링 탐색 : 달성군 문화우체국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Exploring cultural space storytelling based on resident participation: Focusing on Dalseong Culture Post Office

김병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cultural city began as an urban development strategy that focused on the economic and instrumental value of culture due to the need to strengthen the city's competitiveness and self-reliance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local self-government system. In Korea, with the enactment of the Local Culture Promotion Act in 2014, the basis for designation as a cultural city was legally established, and expectations for the creation of a cultural city as a sustainable regional development strategy have increased. The scope of this paper is Dalseong-gun, Daegu, where the preliminary cultural city was started in 2019 by residents directly starting with the discovery of agendas, and the target is the Hwawon area among the four districts. Rather than a simple event-oriented viewing experience program, the process of deciding on a long-term and continuous program, unique to Dalseong, and the creation of original cultural content, and From the design of the cultural city to the process of proposing and collecting opinions led by about 600 local residents, we examined the storytelling case of the Dalseong-gun Cultural Post Office in Daegu, which was planned as a story resource using local historical resources. Cultural Post Office storytelling is Using the analytical framework of story discovering, experiencing, and sharing, the meaning and implications of resident participation in the development of the Dasi(Re) Post Office, Cultural Five Day Market, and brand were presented implications.

한국어

문화도시는 지방자치제 시행 이후 도시의 자생력 강화 필요성에 의해 문화의 경 제적, 도구적 가치에 주목한 도시발전의 전략으로 시작되었다. 우리나라는 2014년 지역문화진흥법 제정으로 문화도시 지정 근거가 법적으로 마련됨에 따라 지속가능 한 지역으로서 문화도시 조성에 대한 기대감이 커졌다. 특히, 특색 있는 지역의 문 화자원을 활용해 지역발전을 이루고, 주민의 문화적 삶의 질을 높이며, 다른 도시 들과의 연계와 네트워킹을 강화해 문화균형발전을 이루는 목표를 갖고 있다. 이 연구는 2019년 주민이 직접 의제 발굴을 시작으로 예비 문화도시로 출발한 대구 달성군을 지역 범위로 하며, 4개의 권역가운데 화원권역을 대상으로 한다. 단 순 행사 위주의 관람체험 프로그램보다는 장기적이며 지속적인 프로그램과 달성만 의 자연 친화적이며 전통적인 프로그램, 독창적인 문화콘텐츠 조성을 결정하는 과 정과 문화도시 설계부터 지역민이 주도해 의견을 제안하고 수렴하는 과정을 거쳐 지역의 역사 자원을 활용해 스토리 자원으로 기획한 대구시 달성군 문화우체국 스 토리텔링 사례를 고찰했다. 문화우체국 스토리텔링은 스토리 발굴, 체험, 공유의 분석틀을 활용해, 다시(re) 우체국, 문화오일장, 브랜드 개발에서 주민참여 의미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문화 우체국은 주민의 문화공간으로서 장소와 관련된 문화가 개발언어를 대신하는 역할 을 해 준 사례로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고, 새로운 공유 언어로서 장소화된 문화 언 어를 다양하게 만들어내고 있다. 그 중심에 지역에 살고 있는 주민들이 문화적 재 생을 위한 실천적 주체로서 창조적인 문화생산자가 있으며, 이러한 지역 기반의 문 화생산자의 역할이 문화도시에 필요하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1. 연구의 범위 및 방법
Ⅱ. 이론적 배경
1. 문화도시 태동과 목표
2. 문화도시 유형 분류
Ⅲ. 달성군 문화도시 분석
1. 달성군 문화도시 배경과 개념
2. 달성군 권역별 문화도시 거버넌스 구축과 특징
Ⅳ. 주민참여를 통한 문화우체국 스토리텔링
1. 문화우체국 스토리텔링 1: 다시(Re) 우체국
2. 문화우체국 스토리텔링 2: 문화오일장
3. 화원우체국 스토리텔링 3: 문화우체국 브랜드 ‘제제’ 개발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병수 Kim, Byoung-Soo. 안동대학교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