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서울 연산군묘 상석의 과학적 조사 및 보존처리

원문정보

Scientific Analysis and Conservation Treatment on Sang-Seok (Stone Table) of Yeonsan-gun Tomb, Seoul

조하진, 채승아, 안유빈, 오순옥, 이태종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Yeonsan-gun Tomb is the tomb of the 10th king of Joseon dynasty and the first abandoned king, Yeonsan-gun, and the wife of Geochanggun Sin. The tomb is on a small scale with a total of 21 stone sculptures, including Pyo-Seok, Sang-Seok, and old stones. The stone sculptures of the Yeonsan-gun tomb were neglected compared to other royal tomb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mbs, and the owner was Yeonsan-gun. In particular, the Sang-Seok located in the south center of the Yeonsan-gun tomb was split in the middle and structurally unstable, but the exact literature could not be confirmed why it was damaged. Therefore, scientific investigation and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Sang-Seok of Yeonsan-gun tomb were carried out. The Sang-Seok of Yeonsan-gun Tomb is coarse biotite granite with a light gray color and is similar to the previously constructed royal tombs. Most of the surface contaminants in the Sang-Seok were identified as living things. As a result of the living thing species identification, lichens affecting the weathering of stone objects such as the Aspicilia sp. were identified and cleaning treatments were conducted. After dry cleaning with bamboo sticks and steam cleaning was performed which is very effective for biological removal. Black contaminants on the floor part that were not removed using a YB Fiber laser. After removing surface contaminants, chrominance values became more clustered than before cleaning treatment. In addition, it is confirmed that cleaning has progressed well as the vegetation index decreases. The identified cracks were restored by mixing epoxy resin and filler. The purpose of this conservation treatment is to attach the two separated Sang-Seok and stabilize them structurally. Patent technology called the 'structural reinforcement treatment method of stone cultural properties using metal reinforcement materials' was utilized. A total of three structural reinforcement materials and perforation positions were selected. One (14mm, L159.82mm) at the upper 1/3 point (91mm below) and two (16mm, L213.08mm) moving 130mm to both sides of the center at the 2/3 point (181mm below) were made for the bonding and restoration treatment were carried out using epoxy resin and filler. After the bonding treatment, surface processing and coloring were performed. Reinforcement treatment was performed using an ethyl silicate-based material to the finishing process the conservation treatment. When the treatment was completed, the ultrasonic speed increased by 6.18%, indicating the improve of physical properties. Conservation treatment record card and photography were completed to finish the total conservation process.

한국어

연산군묘는 조선의 열 번째 왕이자 최초 폐군인 연산군과 거창군부인 신씨의 무덤으로, 묘표석, 상석, 고석 등을 포함한 총 21점의 석물만 배치된 작은 규모이다. 연산군묘의 석물들은 묘라는 특징과 묘의 주인이 연산군이라는 이유로 왕릉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리가 소홀했다. 특히 연산군 봉분 남쪽 정중앙에 설치한 상석의 경우 가운데가 갈라져 구조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였으며, 언제 무슨 이유로 파손되었는지 정확한 문헌을 확인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연산군묘 상석의 과학적 조사 및 보존처리를 진행하였다. 연산군묘 상석은 담회색을 보이는 중조립질의 흑운모화강암으로, 연산군 이전에 주로 사용된 왕릉 상석들과 유사한 자철석 계열의 흑운모화강암이다. 상석 표면오염물은 대부분 생물로 확인되었으며, 생물종 분석결과 Aspicilia속 등 석조물 풍화에 영향을 주는 가상지의류로 확인됨에 따라 세척을 진행하였다. 대나무 스틱·헤라 등을 이용한 건식세척 후 생물제거에 효과적인 반응을 보인 스팀세척을 위주로 습식세척을 진행하였다. 이후 제거되지 않은 바닥면의 일부 흑색오염물에 대해서는 Yb Fiber Laser로 제거하였다. 표면오염물 제거 후 색차 값이 처리 전보다 군집화 되었으며, 식생지수가 하락함에 따라 세척이 잘 진행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후 확인되는 균열부분은 에폭시 수지에 충전제를 혼합하여 충전하였다. 이번 보존처리의 목적은 2개의 부재로 분리된 상석을 접합하여 구조적 안정감을 부여하는 구조보강 접합에 초점을 두었다. ‘금속보강재를 이용한 석조문화재의 구조보강처리방법’특허기술을 참고하여 상부에서 1/3 지점(91㎜ 아래) 중심에 1개(∅14㎜, L 159.82㎜), 2/3 지점(181㎜ 아래) 중심에서 양옆으로 130㎜ 이동하여 2개(∅16㎜, L 213.08㎜) 총 3개의 구조보강재 및 천공의 위치를 산출하여 에폭시 수지와, 충전제를 사용하여 접합을 진행하였다. 이후 표면가공 및 색맞춤을 진행하였다. 마무리 공정은 에틸실리케이트계 강화제를 사용하여 강화처리를 실시하였으며, 처리 후 초음파속도가 6.18%로 상승하여 물성이 개선된 것으로 판단된다. 전체 공정에 대한 처리기록카드 작성과 사진촬영으로 모든 공정을 마무리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연구 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방법
III. 보존상태 조사 분석
1. 문헌조사
2. 재질특성
3. 생물(지의류)종 분석
IV. 보존처리
1. 표면오염물 제거
2. 균열부분 충전
3. 파손부재 접합
4. 표면가공 및 색맞춤
5. 강화처리 및 완료
V. 고찰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하진 Cho, Ha Jin. 연구원,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채승아 Chae, Seung A. 연구원,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안유빈 Ahn, Yubin. 연구원, 국립문화재연구원 보존과학연구과
  • 오순옥 Oh, Soon Ok. 산림주무관, 국립수목원 산림생물다양성 연구과
  • 이태종 Lee, Tae-jong. 학예연구사,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재보존과학센터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