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A Study on Educational Design using Metaverse for University Classes

원문정보

대학수업을 위한 메타버스 활용 교육 설계

Hyunwoo Kim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urpose of study: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ducational use of metaverses among pre-service nursing teachers at a university and explore the implications of designing and operating effective metaverse lessons. Research content and method: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data on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32 pre-nursing teachers enrolled in J University, a very small Christianbased university in Jeonju, Jeollabuk-do, Korea, who participated in a class using metaverses. And based on this, we analyzed the advantages, difficulties, and improvements of the class, differences from classes using Zoom, impressions of the class, and suggestions for effective classes. Conclusions and Suggestions: As a result of analyzing various aspects of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classes utilizing the metaverse, it was found that in order to conduct effective classes utilizing the metaverse,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infrastructure for communication and devices before class, select a metaverse platform according to the goals and contents of the course, and build a space for educational activiti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guidance on how to use the metaverse and conduct sufficient training before running classes with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systematic research on the principles and teaching-learning models of classroom design using the metaverse will continue to be conducted.

한국어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대학 간호전공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 경험을 분 석하고, 효과적인 메타버스 활용 수업 설계 및 운영의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본 연구는 전라북도 전주 소재 기독교 정신을 건학 이념으로 하는 극소규모 의 J대학교에 재학 중인 예비보건교사 32명을 대상으로 메타버스 활용 수업에 참여한 경험과 인식 에 관한 자료를 수집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수업의 장점, 어려운 점 및 개선점, 줌 활용 수업과 의 차이점, 수업에 대한 소감, 효과적인 수업을 위한 제안 등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결론 및 제언 : 메타버스를 활용 수업에 대한 인식과 경험에 대한 다양한 측면의 분석 결과, 효과 적인 메타버스 활용 수업을 진행하고자 한다면 수업 전 통신 및 기기에 대한 인프라를 점검하고 교과목의 목표와 내용에 따른 메타버스 플랫폼의 선택과 교육활동 공간 구축이 필요한 것으로 나 타났다. 또 메타버스 활용 수업에 대한 안내와 함께 소양교육을 충분히 실시한 후 학습자중심 교 수법을 적용한 수업 운영이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향후 메타버스 활용 수업설계의 원리와 교수학습모형 등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것을 기대한다.

목차

Abstract
논문 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선행연구 고찰
1. 메타버스의 교육적 활용
2. 메타버스 활용 수업의 학습자 인식과 경험
3. 메타버스 활용 수업의 설계 및 운영
Ⅲ. 연구 방법
1. 연구 참여자 및 연구 절차
2. 조사 및 분석 도구
Ⅳ. 메타버스 활용 수업의 학습자 인식, 경험 및 수업운영 방안
1. 예비보건교사의 메타버스 활용 수업에 대한 인식
2. 예비보건교사의 메타버스 활용 수업 경험 분석
3. 효과적인 메타버스 활용 수업의 운영 방안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Hyunwoo Kim 김현우. Jesus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