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Research on Christian self-identity in the metaverse era

원문정보

메타버스시대의 기독교 자아정체감을 위한 연구

Hyung Hee Kim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urpose of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Christian selfidentity while paying attention to the metaverse era. It suggests the direction of education that forms a Christian self-identity based on the problems of identity crisis that may arise due to the problem of de-realization while accepting the situation of the metaverse that has emerged due to the digital revolution. Research content and method: Focusing on the discussion of metaverse and de-realization, this paper suggests the importance of Christian self-identity and the direction of education. For this purpose, four tasks of practical theology were carried out based on Richard Osmer’s consensus model. As the desciptive-empirical task was carried out, the opportunities and risks of the metaverse were brought up. Through the interpretive task, the problem of metaverse and de-realization was presented. The normative task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hristian self-identity, and the pragmatic task proposed an education oriented towards Christian self-identity. Conclusions and Suggestions: It is important for education in the metaverse era to form a sense of Christian self-identity. The purpose of education is the formation of Christian’s self-identity, and the content is to build the Christian relationality self, equality self, and openness self. The teaching method is interactive teaching, and the teacher and learner can be presented as an encounter between interpreters. The environment is any area of interpreted life, and evaluation can manifest itself in Christian life as disciples and citizens. The suggestion is to suggest compedency education methods for acquiring Christian self-identity while considering various generations.

한국어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메타버스시대를 주목하면서 기독교 자아정체감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디지털 혁명으로 새롭게 부상한 메타버스의 상황을 수용하면서 탈 현실화의 문제로 인 해 발생할 수 있는 정체성 위기의 문제점을 토대로 기독교 자아정체감을 형성하는 교육의 방향성 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메타버스와 탈 현실화의 논의를 중심으로 기독교 자아정체감의 중요성과 교육 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아스머(Richard Osmer)의 합의 모델(Consensus model)을 토대 로 실천신학의 4가지 과제를 수행하였다. 기술ㆍ경험적 과제(descriptive-empirical task)를 수행 하면서 메타버스의 기회와 위기의 측면을 제기하였다. 해석적 과제(interpretive)를 통해 메타버스 와 탈 현실화의 문제를 제시하였다. 규범적 과제(normative task)를 통해 기독교 자아정체감의 중요성을 부각하고, 실용적 과제(pragmatic task)를 수행하면서 기독교 자아정체감을 지향하는 교 육을 제시하였다. 결론 및 제언 : 메타버스시대의 교육은 기독교 자아정체감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교육의 목 적은 그리스도인의 자아정체감 형성이며, 교육 내용은 그리스도인의 관계적 자아(relationality self), 평등적 자아(equality self) 그리고 개방적 자아(openness self)를 구축하는 것이다. 교육 방법은 대화식 교육이며, 교사와 학습자는 해석자의 만남으로 제시될 수 있다. 환경은 해석된 삶 의 모든 영역이며, 평가는 제자와 시민으로서의 그리스도인의 삶으로 나타날 수 있다. 다양한 세 대를 고려하며 기독교 자아정체감 획득을 위한 역량강화 교육 방법을 제시하는 것은 제언점이다.

목차

Abstract
논문 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메타버스와 탈 현실화의 논의
1. 메타버스의 개념
2. 아바타 중심의 세컨드 라이프
3. 탈 현실화에 내재한 속성
Ⅲ. 메타버스시대 자아정체감의 중요성
1. 환경을 통합하는 자아정체감
2. 내적인 인식을 강화하는 자아정체감
3. 그리스도인의 자아정체감
Ⅳ. 기독교 자아정체감을 지향하는 교육
1. 교육 목적 : 그리스도인의 자아정체감 형성
2. 교육 내용
3. 교육 방법 : 대화식 교육
4. 교사와 학습자 : 해석자의 만남
5. 환경 : 해석된 삶의 모든 영역
6. 평가 : 제자와 시민으로서의 그리스도인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Hyung Hee Kim 김형희. Namseoul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