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A Study on Christian Liberal Arts to Cultivate Religious Literacy

원문정보

종교 리터러시를 함양하는 기독교 교양교육 연구

Miyoung Cho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urpose of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the role of Christian liberal arts education in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Research content and method: It examines how liberal arts education has changed with the times, and examines the modern significance of the role of liberal arts education that is requested today. In the rapidly changing reality of the 21st century, the role of liberal arts education, which was neglected by focusing on major-centered professional education, has become important. The need for creative and integrated thinking skills to create and apply new knowledge on their own has been highlighted. Liberal arts education and Christianity have a common denominator, and they can produce richer fruits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Religious literacy is the ability to identify and analyze the fundamental intersection between religion and social, political, and cultural life through various lenses. It can be said that it is the culture that must be equipped as a democratic citizen living in the 21st century. Understanding religion is the most important humanities and culture. Through the cultivation of religious literacy, it will be possible to develop thinking skills and insights to 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Christianity and various fields of life as a whol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Through this study, the need for religious literacy was expressed, and the direction of Christian liberal arts education requested in this era was sought. Christian liberal arts education that fosters religious literacy is proposed as a way to handle the role of a holistic leader of public society by aiming for convergent thinking and promoting public responsibility.

한국어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21세기의 대학 교양교육에 있어, 기독교 교양교육의 역할에 대한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종교 리터러시를 함양하는 기독교 교양교육을 통해 융복합적 사고 를 지향하고 민주시민으로서 공적 책임감을 고취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교양교육의 역사와 현황을 살펴보면서 교양교육이 시대에 따라 어떻게 변화 되어왔는지 고찰하고, 오늘날 요청되는 교양교육의 역할에 대한 현대적 의의를 되짚어보았다. 21 세기의 급변하는 현실 속에서 전공 중심의 전문교육에 치중하여 소홀히 여겨졌던 교양교육의 역할 이 중요해졌다. 새로운 지식을 스스로 창출하고 응용할 수 있는 창의적이고 통합적인 사고능력의 필요성이 부각된 것이다. 교양교육과 기독교는 공통분모를 가지고 있으며, 상호 간 소통을 통해 더욱 풍성한 열매를 맺을 수 있다. 다양한 렌즈를 통해 종교와 사회, 정치, 문화적 생활 사이의 근 본적 교차점을 식별하고 분석할 수 있는 종교 리터러시는 21세기를 살아가는 민주시민으로서 갖 추어야 할 교양이라고 할 수 있다. 오랜 역사 가운데 다양한 영향을 끼쳐 왔으며 지금도 사회와 밀접한 관계에 있는 종교에 대한 이해는 가장 중요한 인문 교양으로, 종교 리터러시의 함양을 통 해 기독교와 삶의 다양한 분야의 관계를 전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사고능력과 통찰력을 기를 수 있게 될 것이다. 결론 및 제언 : 본 연구를 통해 종교 리터러시의 필요성을 피력하고, 이 시대에 요청되는 기독교 교양교육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융복합적 사고를 지향하며 공적 책임감을 고취시킴으로써 공적 사 회의 전인적인 지도자 역할을 감당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으로 종교 리터러시를 함양하는 기독교 교양교육을 제안한다.

목차

Abstract
논문 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교양교육의 역사와 현대적 의의
1. 교양교육의 역사
2. 교양교육의 현황과 현대적 의의
Ⅲ. 기독교 교양교육의 역할과 종교 리터러시
1. 기독교 교양교육의 역할
2. 종교 리터러시의 필요성
Ⅳ. 종교리터러시를 함양하는 기독교 교양교육의 방향 모색
1. 융복합적 사고를 지향하는 기독교 교양교육
2. 공적 책임감을 고취시키는 기독교 교양교육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Miyoung Cho 조미영. Yonsei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