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 후기 전라도 수화승의 畵脈과 法脈

원문정보

The Painter and Dharma Lineages of Chief Monk Painters in Jeollado Province of Late Joseon

조선 후기 전라도 수화승의 화맥과 법맥

이용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inter lineage and the dharma lineage of the chief monk painters active in Jeollado Province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connecting them to changes in monk lineages. The 18th and 19th centuries, when the chief monk painters representing Jeollado Province were active, were a time when Byeokam lineage, Soyo lineage, and Pyeonyang lineage coexisted, followed by the lineage-conscious lineages of Byeokam and Pyeonyang. As the power terrain of the monk lineages changed, the activities of the chief monk painters also changed. Uigyeom, who represented Jeollado in the 18th century, was based on the Byeokam lineage, which had resided in Songgwangsa Temple since the 17th century, and the Pyeonyang lineage, which entered Jeollado in the late 17th century, and expanded his activities to Hamgyeong-do. Uigyeom is believed to have come from Pyeonyang lineage, but in Jeollado Province, he established himself as a chief monk painter with the help of Byeokam lineage. Following Uigyeom, Bihyeon and Hwa-ak Pyeongsam rose to prominence as chief monk painters in the late 18th century. They were from Byeokam lineage, which flourished at Songgwangsa Temple. At that time, Sangwol Saebong from Pyeonyang lineage was active at Seonamsa Temple; and at Daeheungsa Temple, the Twelve Supreme Patriarchs and Twelve Supreme Instructors were being produced from Soyo lineage and Pyeonyang lineage. Bihyeon, Songgye Kwaeyun, and Hwaak Pyeongsam maintained amicable relations with monks from Pyeonyang lineage and were responsible for the production of Buddhist paintings throughout Jeollado Province. In the 19th century, Wondam Naewon, from Pyeonyang lineage, and Geumam Cheonyeo, believed to be from Seosan lineage, served as chief monk painters. They maintained a collegial relationship and participated in each other’s projects, which in turn influenced each other. Wondam Naewon and Geumyeo Cheonyeo were respected not only as monk painters but also as Zen masters who trained dharma disciples. Wondam Naewon was highly respected in the Buddhist communities that he served as director and chief priest of Pyochungsa Temple. Geumam Cheonyeo was recognized as a Buddhist ascetic to the point that his disciples produced a monk portrait and were gifted the portrait poem from Choui Uisun. The existence of Wondam Naewon and Geumam Cheonyeo, both Zen masters and monk painters, formed the pattern of simultaneous succession of the painter lineage and the dharma lineage in 19th-century Jeollado Province. Wondam Naewon's dharma lineage and painter lineage were passed down to Punggok Deokin. Unpa Chwiseon, who inherited Geumam Cheonyeo's painter lineage, passed down the painter lineage and dharma lineage to Yongseon Cheonhui, who came from the same Songgwangsa Byeokam lineage.

한국어

이 글에서는 조선 후기에 전라도에서 활동했던 首畵僧의 畵脈과 法脈의 관계성을 승려 문중의 변화와 연결해 살펴보았다. 전라도를 대표하는 수화승들이 활동하던 18세기~19세기는 碧巖門 中, 逍遙門中, 鞭羊門中이 공존하던 시기를 거쳐 系派의식을 갖고 벽암문중과 편양문중이 활동하던 시기다. 승려 문중의 세력 변화에 따라 수화승의 활동 양상도 변화하였다. 18세기 전라도를 대표하는 의겸은 17세기 이후 송광사에 세거했던 벽암문중과 17세기 후반 전라도에 유입한 편양문중을 기반으로 활동하며 함경도까지 활동 범위를 확대하였다. 의겸은 편양문중 출신으로 추정되지만 전라도에서는 벽암문중의 도움을 받으며 수화승으로서 입지를 굳혔다. 의겸에 이어 18세기후반 수화승으로 두각을 나타낸 이는 비현과 화악평삼으로, 송광사에서 번성한 벽암문중 출신이다. 당시 선암사에서는 편양문중 출신의 상월새봉이 활동하였고, 대흥사에서는 소요문중과 편양문중에서는 12대종사와 12대강사가 배출되고 있었다. 비현, 송계쾌윤, 화악평삼은 편양문중 출신승려들과 우호적 관계를 유지하며 전라도 일대 불화 제작을 전담하였다. 19세기에는 편양문중 출신의 원담내원과 서산계로 추정되는 금암천여가 수화승으로 활동하였다. 이들은 동료 관계를 유지하며 서로의 불사에 참여하면서 영향을 주고 받았다. 원담내원과 금여천여는 화승만이 아니라법제자를 양성하는 선사로서 존경을 받았다. 원담내원은 표충사 都有司와 宗正을 역임할 정도로교단의 신망이 높았고, 금암천여는 제자들이 진영을 조성해 초의의순에게 영찬을 받을 정도로 수행자로서 인정을 받았다. 禪師이자 畵僧인 원담내원과 금암천여의 존재는 19세기 전라도에서 화맥과 법맥이 동시에 계승되는 양상을 형성하였다. 원담내원의 법맥과 화맥은 풍곡덕인에게 계승되었고 금암천여의 화맥을 계승한 운파취선은 같은 송광사 벽암문중 출신인 용선천희에게 화맥과법맥을 계승하였다. 이처럼 18세기~19세기 전라도를 거점으로 활동한 수화승의 출신 문중과 우호적 관계를 유지하며 그들의 활동을 지원했던 조력 문중을 고찰하면서 이들의 상호 관계성이 조선 후기 전라도에 세거한 승려 문중의 변화 양상과 맥락을 같이하며 화맥과 법맥의 전승이 문중별 혹은 문중을 넘나들며 지속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차

I. 머리말
II. 조선 후기 전라도 승려 문중의 세거 양상
III. 18세기 의겸·비현의 화맥과 승려 문중의 조력
IV. 19세기 수화승의 화맥과 법맥의 전승
V. 맺음말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용윤 Lee Yongyun. 한국학중앙연구원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