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화장품의 외재적 단서가 지각된 가치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초록
영어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valu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 clues of cosmetics and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This study explores how external clues, such as brands and cosmetics package design,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perceived value, affecting consumers’ active purchase intentions. Methods: Frequency, factor, reliability, and three-step media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PSS Ver. 24.0. A survey conducted with 430 participants who purchased cosmetics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from October 1 to October 20, 2022, provided the basis for the final analysis, with 422 usable responses. Results: External clues, such as brand and package design, exhibit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ived value of cosmetics and on consumers’ intentions to purchase cosmetics. Second, perceived value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 clues of cosmetics and purchase intentions. Conclusion: Consumers demonstrate a significant interest in cosmetics’ brand and package design,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hese external clues in stimulating consumers’ active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by improving the subjective value of cosmetics. External clues to cosmetics can promote positive consumer behavior and encouraging the purchase of cosmetics. Recognizing the pivotal role of the perceived value of cosmetics during consumers’ economic activities, it is suggested that leveraging the external clues of cosmetics can be a marketing tool that can improve sales and enhance product image.
한국어
목적: 본 연구는 화장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화장품의 외재적 단서와 구매의도와의 관계에서 지각된 가치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화장품의 외재적 단서인 브랜드와 화장품 패키지 디자인과 그리고 형성된 지각된 가치가 소비자의 적극적인 행동인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방법: 분석방법으로 SPSS Ver. 24.0 프로그램을 활 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성 분석 그리고 3단계 매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 지역에서 화 장품 구매 경험이 있는 430명을 대상으로 2022년 10월 1일부터 10월 2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표본으로 활용할 수 없 는 8부를 제외한 422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결과: 첫째, 화장품의 외재적 단서인 브랜드와 패키지 디자인은 화장품의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화장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소비자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화장품의 외재적 단서와 구매의도의 관계에서 지각된 가치는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소비 자는 화장품의 브랜드 및 패키지 디자인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관심은 화장품에 대한 주관적 가치를 향상시킴으로 써 소비자의 적극적인 태도인 구매의도를 자극하는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화장품의 외재적 단서는 소비자가 화장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긍정적 행동을 촉진할 수 있다. 이때 나타나는 화장품에 대한 가치 지각은 소비자의 경제적 활동을 완성시키는데 결정적 계기가 될 수 있기 때문에 화장품의 외재적 단서는 제품의 이미지 향상과 더불어 매출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마케팅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중국어
目的: 研究探讨感知价值在化妆品外部线索与消费者购买意愿关系中的中介作用。本研究探讨了品牌和化妆品包 装设计等外部线索如何有助于感知价值的形成,从而影响消费者的主动购买意愿。方法: 使用 SPSS Ver.2 进行 频率、因子、可靠性和三步介导的多元回归分析。研究对象为2022年10月1日至10月20日期间对首尔及首都圈 430名有购买化妆品经历的人进行的调查。排除不能作为样本的8份,共422份作为最终分析数据。结果: 品牌和 包装设计等外部线索对化妆品的感知价值和消费者购买化妆品的意图表现出积极的影响。其次,发现感知价值 对化妆品的外部线索与购买意愿之间的关系有部分中介作用。结论: 消费者对化妆品的品牌和包装设计表现出浓 厚的兴趣,强调这些外部线索通过提高化妆品的主观价值来激发消费者的主动态度和购买意愿的重要性。化妆 品的外部线索可以促进积极的消费者行为并鼓励购买化妆品。认识到化妆品感知价值在消费者经济活动中的关 键作用,建议利用化妆品的外部线索作为营销手段,提高销量、提升产品形象。
목차
Introduction
Methods
1. 연구모형 및 가설
2. 대상 및 자료수집
3. 측정도구 및 자료 분석
Results and Discussion
1. 인구통계학적 특성
2.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초록
中文摘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