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RESEARCH ARTICLE

Effects of Beauty Management Behavior and Body Esteem on Psychosocial Stress Levels of Women in their 40s to 50s in Daejeon

원문정보

대전지역 40-50대 여성의 미용관리행위와 신체존중감이 사회심리적 건강 수준에 미치는 효과

Jae-Yeon Lee, Myung-Sun Lee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beauty care behaviors and body esteem on sociopsychological health levels of adult women in their 40s and 50s living in Daejeon. Methods: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SPSS) WIN 23.0 program. Frequencies and percentages of the collected data were calculated to identif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and one-way ANOVA and t -test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beauty care behaviors, body esteem, and social psychological health levels of women in their 40s and 50s. Furthermore, a sim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 of body esteem on sociopsychological health, and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beauty care behaviors and body esteem. Results: In term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ducation and beauty care expenditure showed a significant value for social psychological health. Higher education (F =3.9, p <0.05) and beauty care expenditure (F =4.5, p <0.001)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sociopsychological health.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eauty care behaviors and sociopsychological health, the hair item of beauty care behaviors positively measured the level of sociopsychological health in the middle group compared to the lower group (F= 3.3, p <0.05). Moreover, regarding the effect of body esteem on sociopsychological health, higher levels of esteem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lower levels of sociopsychological health (F =10.3, p <0.001).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higher levels of education, body esteem, and payment for beauty care were associated with poorer sociopsychological health.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on the ultimate beauty intervention program that can intervene in the process and behavior of achieving an ideal appearance through beauty care behaviors and body self-esteem, as well as stress at the sociopsychological health level.

한국어

목적: 본 연구는 대전지역에 거주하는 40-50대 성인 여성의 미용관리행위와 신체존중감이 사회심리적 건강 수준에 미치는 효과 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SPSS) WIN 23.0 프로그램(IBM, US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 하였고, 40-50대 여성의 미용관리행위와 신체존중감, 그리고 사회적 심리 건강 수준을 살펴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과 t-test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신체존중감이 사회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단순회귀분석을 실시 하였으며, 미용관리행위과 신체존중감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다음 과 같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는 학력과 미용관리비용이 사회적심리 건강에 유의미한 값이 나타났다. 학력은 높을수록(F=3.9, p<0.05), 미용관리비용이 높을수록(F=4.5, p<0.001) 사회심리적 건강 수준이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미용관리행위와 사회심리적 건 강의 관계에서는 미용관리행위의 헤어 항목에서 중 그룹이 하 그룹에 비해 사회심리적 건강 수준이 긍정적으로 측정되었다(F=3.3, p<0.05). 신체존중감이 사회심리적 건강 수준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존중감이 높을수록 사회심리적 건강 수준이 부정적으로 측정되 는 결과를 얻었다(F=10.3, p<0.001).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고학력과 미용관리비용의 지불이 높을수록 사회심리적 건강 수준이 건강하지 못하며, 신체존중감 또한 높을수록 사회심리적 건강 수준이 건강하지 못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미용관리행위와 신체존 중감을 통한 이상적인 모습을 가꾸기 위한 과정 및 행위에서 사회심리적 건강 수준의 스트레스까지 중재할 수 있는 궁극적인 미용 중재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중국어

目的: 探讨美容管理行为和身体自尊对居住在大田的 40-50 多岁成年女性社会心理健康水平的影响。方法: 使用 社会科学统计包(SPSS)WIN 23.0 程序对本研究收集的数据进行分析。计算收集数据的频率和百分比,以确定 研究对象的人口特征,并进行单因素方差分析和t检验来考察40-50多岁女性的美容行为、身体自尊和社会心理 健康水平。此外,还进行了简单回归分析来验证身体自尊对社会心理健康的影响,并进行相关分析来确定美容 行为与身体自尊之间的关系。结果: 就人口特征而言,教育和美容管理支出对社会心理健康表现出显着的价值。 高等教育(F =3.9,p <0.05)和美容管理支出(F =4.5,p <0.001)与社会心理健康呈负相关。 在美容管理行为 与心理社会健康的关系中,在美容管理行为的头发类别中,中等组的心理社会健康水平比低组更显着(F =3.3, p <0.05)。此外,关于身体自尊对社会心理健康的影响,较高水平的自尊与较低水平的社会心理健康呈负相关 (F =10.3,p <0.001)。结论: 通过本研究可以看出,受教育程度越高、支付美容护理费用越高,社会心理健康 水平越差,而身体自尊越高,社会心理健康水平越不健康。有必要研究终极的美容干预方案,通过美容行为和 身体自尊,以及社会心理健康层面的压力来干预获得理想外表的过程和行为。

목차

Abstract
Introduction
Methods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 측정 항목 및 내용
3. 분석방법
Results & Discussion
1.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2. 가설검증
Conclusion
1.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미용관리행위와 신체존중감, 사회심리적건강 수준에 미치는 영향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2. 미용관리행위와 신체존중감이 사회심리적 건강 수준에 미치는 결과는 다음과 같다.
Author's contribution
Author details
References
국문초록
中文摘要

저자정보

  • Jae-Yeon Lee 이재연. Department of Beauty & Health Care, Daejeon University, Daejeon, Korea
  • Myung-Sun Lee 이명선. Department of Beauty & Health Care, Daejeon University, Daejeon, Korea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