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제주 자연환경으로부터 감귤박 분해 미생물의 분리 및 동정

원문정보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Citrus Peel Waste Decomposing Microorganisms from Soil of Jeju Island

고정권, 김인중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Jeju Island produces approximately 600,000 tons of citrus fruits annually, accounting for over 30% of the total fruit production, with 80∼85% consumed as fresh produce and the remaining 20∼ 25% used for processing. The processing stage generates about 50,000 tons of citrus peel waste, known as citrus peel waste, which faces significant disposal challeng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effective methods for processing citrus peel waste to reduce its impact on the local environment and economy. The main contents of this research include collecting soil microbes, selecting cellulose-active microbes, identifying microbes and verifying their enzyme activities by decomposing microb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mposting process of citrus peel waste using microbes,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transforming organic material into valuable resources like fertilizer through a biological process that can reduce waste volume and eradicate pathogens.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provide a sustainable solution to the citrus peel waste disposal issue in Jeju, contributing to the enhancement of ESG management and the sustainable value assessment of carbon-neutral technologies. Additionally, efficiently recycling of citrus peel waste can reduce resource waste, increase the economic value of agricultural by-products, and be a crucial step in establishing a renewable economy model.

한국어

제주도는 연간 약 60만 톤의 감귤을 생산하 여 전체 과실 생산량의 30% 이상을 차지하며, 이 중 80-85%가 생식용으로, 나머지 20 ∼25%는 가공용으로 사용된다. 가공 과정에 서 발생하는 감귤 과피, 약 5만 톤의 감귤 착즙박은 처리 문제를 겪고 있다. 본 연구에 서는 감귤 착즙박의 효과적인 처리 방법을 모색하여 지역 환경 및 경제에 미치는 영향 을 줄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토양 미 생물 채집, 셀룰로스 분해 미생물 선별, 미생물 동정 및 셀룰로스 분해 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 로 분리한 미생물을 이용한 감귤박의 퇴비 화 과정을 확립하고, 유기물을 비료와 같은 유용한 자원으로 전환하는 생물학적 과정 정립을 통해 쓰레기 부피를 감소시키고 병 원균을 사멸할 방법 등을 탐색해 나갈 것이 다. 본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 내에서 발생 하는 감귤박 처리 문제에 대한 지속 가능한 해결책을 제공함으로써, ESG 경영 강화 및 탄소 중립 기술의 지속 가능한 가치 평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감귤 착즙박 을 효율적으로 재활용하고 가치를 높이는 것은 자원 낭비를 줄이고, 농업 부산물의 경 제적 가치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순환 경제 모델 구축에 중요한 단계가 될 것이다.

목차

ABSTRACT
서언
재료 및 방법
토양 미생물 채집
Cellulose 활성 미생물 선별을 위한 Clear zone test
미생물 동정
감귤박에서 시간에 따른 환원당 함량 변화 측정
결과 및 고찰
토양 미생물 채집
Cellulase 활성 미생물 선별
미생물 동정 및 효소활성 확인
선별 균주를 처리한 착즙박에서의 시간 경과에 따른 환원당 함량 변화
초록
사사
인용문헌

저자정보

  • 고정권 Jung Gwon Ko. 제주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생명공학부
  • 김인중 In-Jung Kim. 제주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생명공학부, 제주대학교 생물자원컴퓨팅융합연구센터, 아열대농업생명과학연구소, 아열대원예산업연구소, 친환경농업연구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