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황순원 소설 『움직이는 성』의 크로노토프와 타자성 고찰

원문정보

A Sudy on Chronotope and Otherness in Soon-won Hwang’s Novels 『The Moving Castle』

이민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oon-won Hwang’s 『Moving Castle』 was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chronotope, love of place, loss of place, and otherness. 『Moving Castle』 consists of 4 chapters and consists of the chronotope of Seong-ho - Mrs. Hong, Myeong-suk and Ji-yeon, Min-gu - Eun-hee, Park Su-byeon, and Jun-tae - Chang-ae and Ji-yeon. The narrative is confusingly mixed, revealing several characters’ journeys to find their identities in fragments. The chronotope of 『Moving Castle』 is the time and space of loss of place. It is a space for others who cannot be reborn as subjects. So, others consciously set out on a journey to ‘create a place.’ This attempt at creating a place delays the meaninglessness of our lives and the loss of subjectivity, allows us to gain awareness of human existence and ontological self, and ultimately allows the desiring subject to transcend ontology and connect with the subject without integrating the other into himself. It seeks ethical relationships with others. The characters in 『The Moving Castle』 are others who have slipped from the subject. They are beings who have slipped from subjectivity due to the circumstances and environment of the times and the wounds and traumas they have. In other words, Hwang Soonwon’s wandering others seek to express their identity through attempts to create a place for settlement. It also deals with the issue of ethic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others. Through analysis from the perspective of chronotope, placeness, and otherness, the author sought to reveal the search for identity, the issues of human existence, and the eth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others that she sought to embody in her novel. I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an opportunity to go one step further than existing research and study this work from various angles.

한국어

황순원의 『움직이는 성』을 크로노토프, 장소애와 장소 상실, 타자성의 시각에서 살 펴보았다. 『움직이는 성』은 4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성호-홍여사ㆍ명숙ㆍ지연, 민구-은희ㆍ박수 변씨, 준태-창애․지연의 크로노토프로 구성된다. 여러 인물의 정체성 찾기의 여정을 파편적으로 드러내면서 서사가 혼란스럽게 뒤섞여 있다. 『움직이는 성』의 크로노 토프는 장소 상실의 시공간이다. 주체로 거듭나지 못하는 타자들의 공간이다. 그래서 타자들은 의식적으로 ‘장소 만들기’를 위한 여정을 떠난다. 이러한 장소 만들기의 시도 는 우리 삶이 무의미해지는 것, 주체성 상실을 지연시키고, 인간 실존과 존재론적 자아 에 대한 깨달음을 얻게 해주고, 결국엔 욕망하는 주체가 타자를 자기 안으로 통합시키 지 않고 존재론을 초월해 주체와 타자의 윤리적 관계를 추구하는 것이다. 『움직이는 성』 속의 인물들은 주체에서 미끄러진 타자들이다. 시대 상황과 환경, 그들이 가진 상처 와 트라우마로 인해 주체에서 미끄러진 존재들이다. 즉 황순원의 유랑하는 타자들은 정 착을 위한 장소 만들기의 시도를 통해 주체성 발현을 도모하고 있다. 그리고 주체와 타 자의 관계 속에서 윤리성의 문제까지 다루고 있다. 크로노토프와 장소성, 타자성의 시각 에서의 분석을 통해 작가가 소설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정체성 찾기와 인간 실존 문제, 주체와 타자의 윤리적 관계를 밝혀내고자 했다. 이 연구가 기존 연구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다양한 각도에서 이 작품을 연구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목차

1. 서론
2. ‘길의 크로노토프’에 드러나는 정체성 찾기의 여정
3. 미끄러진 주체, 유랑민 근성 극복을 위한 서사
4. 결론
참고문헌
【초록】

저자정보

  • 이민정 Lee Min Jung. 나사렛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