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메타버스 매체별 디지털 패션의 제품 커뮤니케이션 특성과 전략

원문정보

Product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and Strategies of Digital Fashion by Metaverse Media

김소영, 이지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systematize the current status of product attribute communication through digital fashion products and to present strategies for using metaverse media for communication, focusing on the changing fashion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the resulting increase in digital products and on their properties. To this end, a case analysis was conducted on real and digital fashion products, and the communication method of product attributes (practicality, functionality, aesthetics, economy, symbolism, and accessibility) was evaluated on a five-point scale according to the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ase analysis, the product attribute communication methods between different real products, between real and digital products, and between digital products by medium were compar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first, for real products, expressions were developed focusing on practicality, functionality, and aesthetics. On the other hand, digital fashion products tended to expand the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of real products in terms of aesthetics, economy, symbolism, and accessibility, and in terms of practicality, functionality, aesthetics, and symbolism, they tended to emphasize real products through expression. Second, when analyzing trends by each media, AR media summarized and developed key contents for all attribute types, VR media developed specific contents for some attributes in comparison with other two media, such as wearing practicality, and social media showed a balanced development of all attributes with less than 1 point or less. Thir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ifferences in product attribute deployment methods by medium, there were differences in deployment methods in terms of technology, experience, content purpose, graphic representation, and direct and indirectness. Fourth, a plan to utilize metaverse media of digital fashion products was proposed to strengthen the properties of real product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development and media characteristics. The results can be used in future research and industry related to digital fashion products and metaverse media utilization strategies.

한국어

본 연구는 변화하는 패션 커뮤니케이션 환경과 그에 따라 증가하고 있는 디지털 제품 및 그 속성에 주목하 여, 디지털 패션 제품을 통한 제품 속성 커뮤니케이션의 현황을 체계화하고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메타버스 매체 활용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물 및 디지털 패션 제품을 대상으로 사례 분석을 진행하 였으며, 메타버스의 대표 매체(AR, VR, SNS)별로 제품 속성(실용성, 기능성, 심미성, 경제성, 상징성, 접근성) 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분석 내용에 따라 5점 척도로 평가하였다. 사례 분석 결과를 토대로 실물 제품 간, 실물 제품과 디지털 제품 간, 디지털 제품의 매체별 제품 속성 커뮤니케이션 전개의 방식을 비교 분석하였다. 비교 분석 결과, 첫째, 실물 제품은 실용성, 기능성, 심미성을 중심으로 표현을 전개하고 있었다. 이와 비교해 디지털 패션 제품을 통해서는 심미성, 경제성, 상징성, 접근성의 측면에서 실물 제품의 커뮤니케이션 특성을 확장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실용성, 기능성, 심미성, 상징성의 측면에서는 실물 제품에서 나타났던 속성을 표현하여 실물 제품을 강조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매체별 경향을 분석하였을 때, AR 매체는 속성 유형 모두에 대해서 핵심 내용을 요약하여 전개하였고, VR 매체는 상징성의 지속가능성과 같이 일부 속성에 대한 특정한 내용을 다른 두 매체와 비교하여 구체적으로 전개하였으며, SNS 매체는 속성 간 차이가 1점 이내인 전체 속성의 균형적 전개 경향을 보였다. 셋째, 제품 속성 전개 방식의 차이를 매체별 비교한 결과 기술, 경험, 콘텐츠 목적, 그래픽 표현, 직접·간접성의 부분에서 전개 방식의 차이를 보였다. 넷째, 전개 목적, 매체 특성에 따른 실물 제품 속성 강화를 위한 디지털 패션 제품의 메타버스 매체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는 추후 디지털 패션 제품 및 메타버스 매체 활용 전략 관련 연구와 산업 활용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메타버스
2. 디지털 패션 제품과 디지털 패션 콘텐츠
3. 패션 브랜드 커뮤니케이션과 제품 속성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분석 방법
Ⅳ. 연구 결과
1. 실물 제품의 제품 속성 평가 결과
2. 실물 및 메타버스 매체를 통한 디지털제품의 제품 속성 비교 평가 결과
3. 메타버스 매체를 통한 디지털 제품의 제품 속성 매체별 평가 결과
4. 메타버스 매체를 통한 디지털 제품의 속성 확장·강조 표현 방식 평가 결과
5. 디지털 제품 속성 강조를 위한 메타버스매체 활용 전략 제안
V. 결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김소영 Kim, Soyoung.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석사 수료
  • 이지현 Lee, Jeehyun.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인간생애와 혁신적 디자인 융합전공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