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Cultural Appropriation in K-pop Artists’ Fashion
초록
영어
K-pop has gained popularity worldwide, becoming both the identity and voice of the contemporary youth. Fashion is closely intertwined with music and visually contributes to the creative activities of global K-pop artists. However, the issue of cultural appropriation, an act of stealing the heritage from other cultures, is being pointed out simultaneously. Given K-pop’s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younger generation from various cultures, it is crucial to conduct reflective studies. This paper conducted a case study on cultural appropriation in K-pop artists’ fashion based on news articles and YouTube video content. Types of objectification and methods of cultural appropriation were examined in the content analysis of news articles. First, seven types of cultural appropriation are identified through K-pop artists’ fashion: typicalization and caricature of race; non-contextualization and fantasizing-romanticization of tradition; non-contextualization and fantasizing-romanticization of history; fantasizing- romanticization of religion. In each type, K-pop artists imitated and caricatured race through blackfishing or blackface, borrowed costume and hair traditions out of context, misinterpreted historical facts, and ignored religious meanings. YouTube videos are categorized into three: introduction of concepts and cases, criticism and opinion, and reaction content. YouTube creators criticized problems of cultural appropriation in K-pop artists’ fashion, who posed risks such as creating stereotypes for certain races, causing racial discrimination discourses, lacking in respect for tradition, misinterpreting historical facts, reproducing exploitation of colonialism, and insulting religion. This study provided a critical perspective through a comprehensive discussion of K-pop fashion and culture. In addition, this paper proposed multicultural sensitivity education, criteria development and application, and economic contributions to cultural stakeholders, as a possible way to prevent cultural appropriation, thereby aiming to enhance the contribution of the K-pop industry.
한국어
K-pop은 전 세계에서 인기를 얻으며 동시대의 청춘의 소리이자 정체성으로 자리 잡았다. 패션은 음악과 긴밀히 상호 작용하면서 글로벌 문화의 중심에 선 K-pop 아티스트의 창작 활동에 시각적으로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동시에 타문화권의 유산을 도용하는 행위로 간주하는 문화적 전유의 문제를 지적받고 있다. K-pop이 다양한 문화권의 젊은 세대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만큼 그 어느 때보다 성찰적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 다. 본 연구는 뉴스 기사와 유튜브 영상 콘텐츠를 기반으로 K-pop 아티스트의 패션에서 나타나는 문화적 전유 에 대하여 사례연구를 실시했다. 뉴스 기사를 통한 사례분석에서는 문화적 전유의 대상과 방식을 분석했다. 첫째, K-pop 아티스트의 패션에서 나타나는 문화적 전유의 사례에서는 인종의 전형화와 희화화, 전통의 비맥 락화와 환상 및 낭만화, 역사의 비맥락화와 환상 및 낭만화 그리고 종교의 환상 및 낭만화로 총 7가지 유형으 로 이루어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각 유형의 사례에서는 블랙피싱이나 블랙페이스를 통해 타인종을 모방하거 나 희화화하고, 복식이나 헤어 관습을 무분별하게 차용하고 미적으로 소구하며, 역사적 사실과 다른 맥락에서 왜곡하고, 종교의 영적인 의미를 무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 대상으로 삼은 유튜브 영상 콘텐츠는 개념 및 사례 소개, 비판 및 의견 전달 그리고 리액션 콘텐츠의 세 가지 유형이 있었다. 유튜브 영상 콘텐츠 창작자의 견해를 종합한 결과 K-pop 아티스트의 패션에서 나타나는 문화적 전유 사례는 해당 인종에 대한 선입견 초래, 인종차별 담론 형성, 전통에 대한 존중 결여 및 가치 절하, 역사적 사실 왜곡 및 식민주의 착취 재현 그리고 종교에 대한 모독이라는 위험성이 있었다. 본 연구는 K-pop 패션과 문화에 대한 종합적 논의를 통해 비판적 시야를 제공했다. 또한, 문화적 전유를 방지할 수 있는 제언을 다문화 감수성 교육, 크리테리아 개발 및 활용 그리고 문화 당사자에 대한 경제적 지원으로 제언하고 K-pop 산업 기여를 꾀했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문화적 전유에 대한 일반적 고찰
2. 패션과 문화적 전유
3. K-pop과 문화적 전유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1. K-pop 아티스트의 패션의 사례에서 나타나는 문화적 전유의 대상과 방식
2. K-pop 아티스트의 패션에서 나타나는 문화적 전유의 위험성
3. 종합적 논의
4. 제언
Ⅴ. 결론
References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