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Korean Version of Rape Myths Scales
초록
영어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multidimensional nature of rape myths by comparing four scales that assess rape myth acceptance. Additionally, it sought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measurement instruments by analyzing rape myth acceptance based on participant characteristics. The Illinois Rape Myths Scale (K-IRMA), the Korean version of the Subtle Rape Myths Scale (K-SRMA), the Korean version of the Rape Myths Scale (RMA), the Korean version of the Image-Based Sexual Abuse Belief Acceptance (K-SIAMA), dating and digital sexual assault experiences, and the social desirability scale were administered to 306 adults (149 males, 157 females) nationwide and subjected to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revealed several important insights. First, the total scores of the four scales measuring rape myth acceptance demonstrated a range of correlations, ranging from r = .29 (p < .001) for the lowest correlation to r = .88 (p < .001) for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the subscales. Second, both the dating and digital sexual assault victimization groups exhibit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rape myth acceptance compared to the non-victimization group across all measurement instruments. Third, the K-IRMA scale exhibited significance in measuring rape myths among individuals in their 20s, while the RMA scale was significant for individuals in their 30s, 40s, and 50s. The K-SIAMA scale proved to be significant in measuring myths related to digital sexual offenses. Furthermore, the K-SRMA scale displayed a significant inverse relationship with social desirabilit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while rape myths represent a common concept across the four measurement scales, they also possess distinct multidimensional characteristics, with some subfactors displaying low correlations. As a result, the selective use of each scale according to specific purposes is recommended. Moreover, the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subject characteristics, including age, in understanding and addressing rape myth acceptance. The differentiation of perceptions and measures related to rape myths may contribute to more targeted treatment in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programs for sex offenders and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cognitive behavioral educational materials for preventing sexual offenses.
한국어
이 연구는 강간통념 수용 정도를 측정하는 네 가지 척도를 비교함으로써 강간통념의 다차원적인 개념을 이해 하고자 하였으며, 강간통념 수용도를 비교하여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강간통념 측정도구의 특징을 살펴보고 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성인 306명(남 149명, 여 157명)을 대상으로 일리노이 강간통념 척도(K-IRMA), 미묘한 강간통념 척도(K-SRMA), 한국판 강간통념 척도(RMA), 이미지 기반 성적 학대 신념 수용도(K-SIAMA), 데이트 성폭력 가해경험, 디지털 성폭력 가해경험,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강간통념 수용 정도를 측정하는 네 가지 척도는 총합과 하위요인들과의 관계가 r = .29에서 .88 사이로 나타났다. 둘째, 데이트 및 디지털 성폭력 가해 경험이 있는 집단은 없는 집단보다 강간통념 수용 정도가 모 든 측정도구에서 유의미하게 높았다. 셋째, K-IRMA 척도는 20대의 강간통념을 측정하는 데 유의한 반면, RMA 척도는 30대, 40대, 50대의 강간통념을 측정하는 데 유의하였다. K-SIAMA 척도는 디지털 성범죄에 관한 잘못된 통념을 측정하는 데 유의하였다. K-SRMA 척도는 사회적 바람직성과 유의한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이 러한 결과는 강간통념을 측정하는 네 가지 척도가 유사한 개념을 공유하기도 하지만, 일부 하위요인에서 낮 은 상관에서 보여 다차원적 개념으로 구분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각 척도를 목적에 따라 선별적으로 사용해 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나이를 비롯한 대상에 따라 강간통념 수용도의 특징이 다르게 나타나, 이를 고려해야 함이 시사된다. 강간통념에 대한 분화된 인식과 측정은 성범죄자를 대상으로 하는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에 서의 치료목표를 보다 세심하게 설정하는데 도움이 될 뿐 아니라 성범죄 예방을 위한 인지행동적 교육 자료에도 활용할 가치가 있다.
목차
방법
연구대상
강간통념 수용 측정도구
집단 변인
자료분석
결과
강간통념 측정 도구들 간 상관
동일방법편의 검증
강간통념 수용 척도의 확인적 요인분석
데이트 성폭력 가해 경험 유무에 따른 강간통념 수용 척도의 비교
디지털 성폭력 가해 경험 유무에 따른 강간통념 수용 척도의 비교
사회적 바람직성에 따른 강간통념 수용 척도의 비교
논의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