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엘리트 스포츠편 : 인문사회과학영역

여성 운동선수들의 섭식장애 행동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원문정보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ating Disorder Behavior Experience of Female Athletes

이성희, 서주원, 김한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ruit female athletes suffering from eating disorders and examine in-depth the perception, characteristics, persistence reasons, and symptoms of eating disorders they experience. The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a total of four female athletes who have experienced eating disorders for more than three years. We used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o focus on revealing the meaning of participant experience. The results of the study derived 31 semantic units, 11 subcomponents, and 4 essential components. First, I found that I started eating disorders due to stress over unsatisfactory traffic jams, and it was confirmed that I met them by chance rather than recognizing them from the beginning. Second, the participants found that they were afraid of gaining weight and vomited even after taking it to a normal range. Third, it turns out that all participants are not satisfied with their weight and body, so they can't stop losing weight.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participants experienced repeated physical symptoms such as swollen face, sore throat, indigestion, and negative psychological conditions such as depression and self-responsibility due to frequent vomiting and taking drugs.

한국어

본 연구는 섭식장애 행동을 보이는 여성 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섭식장애 행동의 인식, 특징, 지속 이유, 증상에 관해 심층적으로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섭식장애 행동을 3년 이상 경험하고 있는 여성 운동선수 4명으 로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섭식장애 행동 경험에 초점을 두어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31개의 의미단위와 11개의 하위 구성요소, 4개의 본질적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구체적인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첫 째, 섭식장애 행동의 인식은 만족스럽지 못한 체중에 대한 스트레스로 인해 시작되었으며, 처음부터 섭식장애로 인지하기 보단 우연히 알게 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섭식장애 행동의 특징은 체중이 증가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으로 폭식, 구토, 약물 복용을 사용하였다. 셋째, 섭식장애 행동의 지속 이유는 신체 불만족, 원하는 신체상, 만성화, 올바른 체중조절 방법에 대한 부정적 인식으로 구분하였다. 넷째, 섭식장애 행동으로 인한 증상은 잦은 구토와 약물 복용으로 인해 얼굴이 붓거나 목 통증, 소화 불량 등의 신체적 증상과 우울감, 자책감 등 부정적인 심리상태를 반복적으로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연구방법
1. 현상학적 연구
2. 연구 참여자
3. 조사도구
4. 연구절차
5. 자료분석
Ⅲ. 연구결과
1. 섭식장애 행동의 인식
2. 섭식장애 행동의 특징
3. 섭식장애 행동의 지속 이유
4. 섭식장애 행동으로 인한 증상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성희 Lee, Seong-Hui. 한국체육대학교, 석사
  • 서주원 Seo, Ju-won. 한국체육대학교, 석사
  • 김한별 Kim, Han-byul. 한국체육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