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직무환경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원문정보

Effect of Caregiver’s Work Environment on Turnover Intention in Elderly Care Facilities :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이진열, 윤기혁, 이미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on the effect of job environment of care workers in Elderly care facilities on turnover int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to reduce turnover intention of care workers in elderly care facilities. For this purpose, a self –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302 care workers at nursing homes in Ulsan Metropolitan Cit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job environment had negative o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However, job stress had no medi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job environment of care workers in geriatric care facilities on turnover intention. Based on the above result,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First, it is necessary to clearly define duties of care workers and make efforts to strengthen staffing. Second,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should be provided through regular consultation with care workers along with establishment of a risk management system. Based on results of this study, a follow-up study on human rights and treatment of care workers in terms of strengthening their work environment is proposed.

한국어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직무환경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를 줄일 수 있는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울산광역시소재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302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직무환경은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인요양 시설 요양보호사의 직무환경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 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요양보호사에 대한 직무를 명확히 규정하고, 직원배치 강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위험관리시스템 구축과 함께 요양보호사 대상의 정기적 상 담을 통해 심리·정서적 지원을 해야 한다. 한편,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직무환경 강화 측면에서 요양보호사의 인권 및 처우 등에 관한 연구를 후속 연구로 제언하고자 한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배경
1.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직무환경
2.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
3.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
4.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자료수집 방법 및 연구대상
3. 측정도구
4. 자료분석 방법
Ⅳ. 연구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2. 주요변수의 기술통계
3. 주요변수의 상관관계
4.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진열 Lee, Jin-Yeol. 동서대학교 사회복지상담학과 조교수
  • 윤기혁 Youn, Ki-Hyok. 동명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조교수
  • 이미라 Lee, Mi-La. 동의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