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신라 상·중대 중앙행정제도의 발달과정과 동아시아사 속 함의

원문정보

The Development of Silla’s Central Administrative System in the Sangdae and Jungdae Periods and Its Implications in East Asian History

정덕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Silla’s central administrative system during the Sangdae (上代) and Jungdae (中代) periods, which is segmented into six major phases. The research also explored the historical implications of this development in the context of East Asian history. During the Sanggo (上古) period, Silla operated with various jeon (典) and established a prototype for the central government office, which fully materialized in the subsequent Junggo (中古) period. Toward the end of the Sanggo period, reorganization of gamjeon (監典) commenced.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Junggo period, bu (部) and fu (府) were established and operated within the jeon framework, with significant emphasis on the reorganization of gamjeon. In the latter part of the Junggo period, substantial progress was made in sequencing and systematizing the central administrative system, culminating in the establishment of the Sangdae system. The early Jungdae period focused on revising and enhancing the Sangdae system, resulting in substantial progress toward completion of the Jungdae system. In the mid-Jungdae period, the division of six-jeon (六典) duties was reinforced, and improvements were made to the early Jungdae period system. The late Jungdae period grappled with the need for comprehensive reorganization upon completing the Jungdae system, which eventually solidified as the prevailing Silla system. Given that the Sangdae and Jungdae periods operated within a two-spine system, the Jungdae system emerged due to renovation of the earlier Sangdae system. The development process of Silla's central administrative system during the Sangdae and Jungdae periods closely parallels that of the Sui (隋) and Tang (唐) dynasties. At the end of the 6th century, the Silla and China(Sui and Tang) encountered similar challenges in their administrative systems and adopted similar methods and objectives to address their issues. Silla's Jungdae and Tang systems were the outcomes of Dongyi (東夷) and China developing national systems rooted in their respective cultural traditions. The systems that emerged in the Sangdae and Jungdae periods in Silla have implications in East Asian history because they provide a model that elucidates the challenges and resolutions encountered in the management of Korea’s and China’s central administrative systems since the late 6th century.

한국어

본고는 신라 상·중대 중앙행정제도의 발달과정을 주요 6시기로 구분하고, 이에 내포된 동아시아사 속 함의를 찾고자 한 것이다. 상고기는 다종·다양한 典을 운영해 중고기 이후 중앙관청의 원형·실질적 원형을 마련한 시기이며, 상고기 말에는 監典의 재편이 시작되었다. 중고기 전반은 典을 기초로 部·府를 성립·운영하며, 監典의 재편이 두드러진 시기이다. 중고기 후반은 중앙행정제도의 체계화·서열화·계통화가 크게 진전되고, 상대체제가 완성된 시기이다. 중대 전반은 상대체제를 수정·보완해 중대체제를 실질적으로 완성한 시기이다. 중대 중반은 6전적 업무 분담을 강화하며 중대 전반 체제를 수정·보완한 시기이다. 중대 후반은 중대체제를 완비하면서 전면 개편 문제가 대두하고, 중대체제가 유지되며 신라제로 굳어진 시기이다. 상·중대 관직제의 정원 구조는 두 개의 허리 구조이므로, 중대체제는 상대체제의 쇄신을 통해 구축되었다. 신라 상·중대 체제의 발달과정은 수·당 6전 체제의 발달과정과 동궤에 있다. 6세기 말 신라와 수·당의 중앙행정제도는 유사한 문제에 직면하며, 문제의 풀이 방식·목표가 비슷하다. 신라 중대체제․당제는 동이·중국이 자국 전통을 기초로 국가체제를 발전시킨 산물이다. 신라 상·중대체제는 6세기 말 이후 한국․중국이 직면한 중앙행정제도의 문제와 풀이 방식을 보여주는 모델의 하나이므로, 동아시아사 속 함의가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관청ㆍ관직의 초치 연대 보완과 관청 발달의 시기 구분
Ⅲ. 관직제의 시기별 변화와 상ㆍ중대체제 발달과정의 함의
Ⅳ.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정덕기 Jung, Duk-gi.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ㆍ육군사관학교 군사사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0,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