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평양과 발해만 북부 갈석산 비정의 문제점 - 진·한(秦·漢) 시기 발해(渤海)와 요동(遼東)의 위치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Problems in estimating Jieshi-Mountain (碣石山) in Pyongyang and northern Bohai Bay - Centered on the location of the Bohai Sea and Liaodong during the Qin and Han Dynasties -

이기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presents a review of the locations of ancient Bohai (勃海), Qin Great Wall (秦長城), and Liaodong (遼東), which are landmarks related to Jieshi-Mountain (碣石山), and the research pertaining to problems with the current estimation of the location of Jieshi-Mountain (碣石山) of Pyongyang (平壤) and northern Bohai Bay (渤海灣). The research confirms by means of various original documents that Bohai (勃海), Qin Great Wall (秦長城), and Liaodong (遼東) were not in the same locations as they are today, but in the southern region of Hebei Province (河北省). It also proves that Jieshi-Mountain (碣石山) could not have been located in the current Korean Peninsula or northern Balhae Bay. The original site of Jieshi-Mountain (碣石山), having been on the border of Gojoseon (古朝鮮), was in close proximity to the location of the Yan Dynasty during the Warring States Period. If Liaodong (遼東), the eastern end of the Great Wall built by Qin (秦) and the Bohai, the sea that Han (漢) (who succeeded Qin (秦)) had crossed to attack Gojoseon (古朝鮮), were located in Hebei Province (河北省), it follows that Jieshi-Mountain (碣石山) would also have been in China’s Central Plains (中原) at the time of the Qin (秦)-Han (漢) Dynasty, and not around the current Bohai (渤海). These findings present new standards for Gojoseon’s (古朝鮮) territory, providing evidence of the error of the Korean Peninsula Hansijun’s (漢四郡) theory that has prevailed since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a new perspective for Chinese academia who regard the Jieshi-Mountain (碣石山) in northern Bohai Bay (渤海灣) as the first Jieshi-Mountain (碣石山).

한국어

갈석산(碣石山)은 고대 중국과 고조선의 국경에 위치했던 표지로서 현재 학자에 따라 여러 지역으로 비정되고 있다. 그 가운데 한반도 평양 서남부의 용강설과 하북성 진황도시 창려현을 비롯한 발해만 북부 4개의 갈석산설은 중국에서 진(秦)․한(漢) 시기 유력한 갈석산으로 주장되고 있으나, 원전문헌의 여러 기록들과 불합치되는 곳에 위치해 있음이 확인된다. 갈석산이 있다는 수성현(遂城縣) 관련 내용을 처음 언급한 󰡔태강지리지(太康地理志)󰡕의 기록은 원본이 소실되어 확인이 어려운데, 후대 당(唐) 사가(史家)들이 ‘조선 낙랑군’에 속한 수성현, 또는 ‘고기주(古冀州) 상곡군’에 속한 수성현으로 서로 다르게 인용하는 모순이 있다. 따라서 실제로 중국이 주장하는 한반도 낙랑군(평양) 수성현에 갈석산이 있었는지 신뢰하기 어렵고, 진(秦)․한(漢) 당시의 여러 문헌상 갈석산 관련 내용이 한반도 상황과 맞지 않으며, 갈석산이 초기에 황하(河) 인근에 있었음을 전하는 여러 기사들도 한반도와 위치상 맞지 않으므로 평양(용강) 갈석산설은 근거가 부족한 주장으로 볼 수 있다. 창려현을 비롯한 발해만 북부 갈석산설들의 경우, 갈석산과 함께 전국시대 연(戰國燕)나라의 국경을 규정짓는 지표였던 발해(勃海)가 진(秦)․한(漢) 당시에는 현재와 달리 하북성 남부로 비정되는 사실과, 진(秦) 장성의 동단(東端)이자 갈석산이 있었다는 요동(遼東)의 위치 역시 현재와 달랐다는 문제점이 있다. 요동(遼東)은 전국시기 이후 연(燕), 제(齊), 조(趙)가 공유했었던 곳이었고, 후한(後漢) 당시 요동 인근의 요하(遼河)는 현재와 달리 동쪽으로 곧게 흘렀다. 서진(西晉) 이전 요동에 속했던 창려(昌黎)는 현 북경보다 남쪽에 있었고, 후한 요동태수 공손도의 근거지였던 요동군 치소 양평(襄平)은 현 하북성 남부와 하남성 북부를 가로지르는 장수(漳水)로 유입되던 양수(梁水) 인근에 있었다. 진(秦) 당시 흉노와 예맥조선의 경계였던 상곡(上谷)을 중국에서 하북성 중부(保定市, 张家口市)로 비정하고 있는데, 진(秦)장성의 종점인 요동의 기준이 되는 요주(遼州)가 이 상곡 남부인 하북성 진중시 좌권현에 근대까지(1912년) 있었고, 진시황 당시 황하 북쪽과 동쪽에는 흉노(匈奴)와 동호(東胡), 예맥조선이 건재하였으므로 진시황이 쌓은 장성이 동쪽으로 현 북경 동쪽 바다(발해)에 이를 수 없다. 이러한 사실을 종합할 때 요동은 현재와 달리 하북성 중남부에 있었고, 이 요동에 있었다는 진장성(秦長城)의 동단과 갈석산 역시 이 인근에 위치했었음을 추론할 수 있다. 갈석산을 경계로 삼았던 연(燕)나라의 수도 계(薊)와 연에 속했던 어양(漁陽)이 유주(幽州, 현 북경일대)로 이동된 시기는 당(唐)나라 시기로, 이렇게 유주(북경 인근)로 이주 된 연나라 위치를 기준으로 보면 현재의 발해만 북부에 비정되는 갈석산이 문헌상 맞지 않는 곳에 있음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갈석산과 관련된 발해와 요동, 진장성(秦長城), 연(燕)의 위치가 진(秦)․한(漢) 시기에 현재와 다른 곳에 있었음이 확인되므로, 현재의 발해와 요동, 진장성, 연(燕)을 기준으로 비정되고 있는 발해만 북부 갈석산들은 고대 관련 기록과 맞지 않는 곳에 위치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낙랑(樂浪) 수성현(遂城縣) 갈석산 평양설의 문제점
Ⅲ. 발해만 북부 갈석산 설(說)의 문제점
Ⅳ.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기훈 Yi, Ki-hoon. 인하대학교 융합고고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