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의 필자 정체성 비교 연구 - 한국어 논증적 텍스트에 반영된 자기 언급 장치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comparative study on the identity between Chinese Korean learners and Korean native speakers - Focus on the self mention devices in Korean argumentative texts -

맹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aims to compare the identity between Chinese Korean learners and Korean native speakers, and reveal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o this end, a quantitative comparison was made between the self mention devices in argumentative texts of Chinese Korean learners and Korean native speakers.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compared to Korean native speakers, Chinese Korean learners used more self mention devices. Moreover, compared to Chinese Korean learners who prefer first person pronouns, Korean native speakers prefer ellipsis. This means that compared to Chinese Korean learners who explicitly express their existence as the author in argumentative texts, Korean native speakers do not explicitly express their existence as the author, but rather expose their hidden selves. This difference stems from the differences in the genres of argumentative articles between Chinese and Korean, as well as the lack of understanding among Chinese Korean professors and learners about the differences in the genres of argumentative article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한국어

본고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의 필자 정체성을 비교하여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의 논 증적 텍스트에 나타난 자기 언급 장치를 양적인 측면에서 비교하였다. 연구의 결과, 한국어 모어 화자에 비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자기 언급 장치를 더 많이 사용하였다. 그리고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1인칭 대명사를 선호하는 데 비해 한국어 모어 화자들은 생략하기 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논증적 텍스트에서 필자로서의 존재를 명확히 표현하는 데 비해 한국어 모어 화자가 필자로서의 존재를 명확히 표현하지 않 고 숨겨진 자아를 드러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차이는 중한 논증적 글의 장르적 차이, 중국인 한국어 교수자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중한 논증적 글의 장르적 차이에 대한 인 식 부족에서 비롯된 것이다.

목차

국문요약
1. 서론
2. 필자 정체성과 글쓰기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맹강 Meng Gang. 중국 길림대학교 한국어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