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지능형 블록체인 기반의 P2P 에너지 거래 서비스 플랫폼에 대한 연구

원문정보

Intelligent BlockChain-based P2P Energy Trading Service Research about the Platform

이병권, 안민, 한수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European Union (EU) is advancing various policies and activities with the goal of achieving carbon neutrality by neutralizing greenhouse gas emissions by 2050. In contrast, South Korea has set an objective to reduce its emissions by 40% from the 2018 levels by 2030. According to a survey by the Federation of Korean Industries, South Korea is anticipated to face an additional carbon tax burden ranging from KRW 7 trillion to 36 trillion annually. This study proposes a platform service where individuals can store eco-friendly energy sources, like solar power, in the Energy Storage System (ESS) and, after usage, trade the surplus energy with others using blockchain-based coins and tokens. The coins utilized for energy trading in this research are employed in either private or public exchanges to structure energy markets. Users purchase these coins from exchanges and convert them into tokens to charge electrical energy. It is hoped that through the methodology presented in this study, the direct production of green energy and the subsequent reduction in greenhouse gas emissions will represent a significant stride toward achieving carbon neutrality.

한국어

EU(European Union)는 20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을 제로화하여 탄소 중립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여러 정책과 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반면, 국내는 2018년의 배출 수준에서 2030년까지 40%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전국경제 인연합회의의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연간 7조에서 36조의 추가 탄소세 부담이 예상된다고 했다. 본 연구는 개인이 태양열과 같은 친환경 에너지를 ESS(Energy Storage System)로 저장하고 사용한 뒤, 블록체인 기반의 코인(Coin)과 토큰(Token)을 통해 남은 에너지를 다른 개인과 거래(P2P)하는 플랫폼서비스를 제안했다. 본 연구에 서 적용한 블록체인 에너지 거래에 쓰이는 코인은 사설이나 공용거래소에서 에너지 시장의 구축에 활용되며, 사용자 는 거래소에서 구입한 코인을 토큰으로 변환해 전기에너지를 충전한다. 본 연구가 제시한 방식을 통해 친환경 에너지의 직접 생산을 통한 온실가스 배출 감소가 탄소 중립 달성의 방향으로 한 걸음 더 나아가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Related Work
1. 국내외 탄소중립 정책동향
2. 국내외 전기차 현황
3. 블록체인과 네트워크
Ⅲ. BlockChain-based P2P EnergyTrading Service Platform
Ⅳ. Experiment and implementation
Ⅴ. Conclusion
ACKNOWLEDGEMENTS
REFERENCES

저자정보

  • 이병권 Byong Kwon Lee. 서원대학교 미디어콘텐츠학부 교수
  • 안민 Min Ahn. 서원대학교 미디어콘텐츠학부
  • 한수진 Soo Jon Han. 서원대학교 미디어콘텐츠학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