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Acquisition of Japanese Grammar Items According to the Learning Environment through Large-scale Corpus Data
초록
영어
In this study, the use of “yo–da” and “mitai–da” by Japanese learners was analyze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grammar acquisition. In addition, by comparing the use pattern of learners with the use of Japanese native speakers, we considered the intermediate language pattern of Japanese learners and the acquisition pattern that varies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As a resul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In the case of JFL learners, the rate of use of “yo–da” was higher than that of “mitai –da”, but in the case of JSL learners, the rate of “mitai–da” was higher. The rate of use of “yo–da/mitai–da” by these JSL learners was similar to that of Japanese native speakers. (2) JFL learners did not tend to use a specific format before and after “yo–da/mitai– da”, but in the case of JSL learners, there was a clear tendency to use verbs in the preceding paragraph of “yo–da” and nouns in the preceding and following paragraphs of “mitai–da”. The air patterns of these JSL learners were similar to those of Japanese native speakers. (3) JFL learners tended to use “mitai–da” by connecting them to specific nouns, but this trend did not appear in JSL learners and Japanese native speakers. (4) For JFL learners, “yo–da” and “mitai–da” are used evenly in predicate and non– predicate, but JSL learners have a relatively strong tendency to use “mitai–da” in predicate, and this tendency of JSL learners to use it has a pattern that is over–generalized by the use of Japanese native speaker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학습 환경이라는 요인과 문법습득과의 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 으로 일본어 학습자의 「ようだ」와 「みたいだ」의 사용에 대해 분석한 것이다. 그리 고 학습자의 사용 양상을 일본어 모어화자의 사용과 비교함으로써 일본어 학습자 만의 중간언어 양상, 환경에 따라 달라지는 습득 양상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JFL 학습자는 「ようだ」의 사용 비율이 「みたいだ」에 비해 높았지만 JSL 학 습자의 경우에는 이와는 반대로 「みたいだ」의 비율이 더 높았다. 이러한 JSL 학습 자의 「ようだ・みたいだ」의 사용 비율은 일본어 모어화자와 유사했다. (2) JFL 학습자는 「ようだ・みたいだ」의 전후에 특정한 형식을 접속시켜 사용하 는 경향이 보이지 않지만 JSL 학습자의 경우는 「ようだ」의 전항에는 동사를, 「みた いだ」의 전항과 후항에는 명사를 접속시켜 사용하는 경향이 뚜렷했다. 이러한 JSL 학습자의 공기 양상은 일본어 모어화자와 유사했다. (3) JFL 학습자는 구체명사에 「みたいだ」를 접속하여 사용하는 경향이 다소나마 보였지만 JSL 학습자와 일본어 모어화자에게는 이러한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4) JFL 학습자는 「ようだ」와 「みたいだ」가 술부와 비술부에서 고르게 사용되지 만 JSL 학습자는 「みたいだ」를 술부에서 사용하는 경향이 상대적으로 강하게 나 타났으며 이러한 JSL 학습자의 사용 경향은 일본어 모어화자의 사용이 과잉일반 화한 패턴을 지닌다.
목차
2. 선행연구의 검토
3. 조사 자료 및 분석의 개요
4. 분석 및 고찰
5. 결언
참고문헌
要旨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