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K-방역평가와 외신 보도 프레임 유형이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집단 나르시시즘과 자국명성을 고려하여

원문정보

The Influence of K-quarantine Evaluation and Types of Foreign Reports Frames on Online Communication Behavior : Considering Collective Narcissism and Homeland Reputation

곽경린, 김지하, 이준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K-quarantine evaluations—i.e., the public assessment of the Korean government’s quarantine activiti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and the framing of related foreign news articles on the public’s online communication behavior. It also examined the influence that collective narcissism and homeland reputation had on these impacts. Methods An analysis of foreign news articles yielded three predominant frames: technology, culture, and system. Moreover, public evaluations of K-quarantine were split into positive and negative categories. Following this categorization, an online quasi-experiment with 300 Korean adults administered through a survey company was conducted to observe the effects on the public’s online communication behaviors. Results The study found that a negative public opinion of K-quarantin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how public communicate through online, especially when they were exposed to the technology frame. Conversely, for those who evaluated K-quarantine positively, collective narcissism played a meaningful but varying role; it was influential in all frames except for the cultural frame. Further, aside from when the public was exposed to the culture frame or the system frame, an evaluation of homeland reputation was also seen to have a notable indirect effect on the online behavior of those who negatively evaluated K-quarantine. Conclusions The significant dual mediation effect of collective narcissism and homeland reputation shows that even online communication behavior—which is often seen as being easier to engage in than offline activities—is influenced by deep-seated psychological factors. This result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this research, emphasizing the need for in-depth investigations into the psychological and cognitive factors that influence public behavior, both in the policy PR research and in the realm of the online communication research.

한국어

연구목적 본 연구는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이루어진 K-방역평가(한국 정부의 방역 활동에 대한 공중들의 평가)와 이에 대한 외신 보도 프레임이 공중들의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 과정에서 자국 민의 집단 나르시시즘과 자국명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내용 분석을 통해 도출된 외신의 보도 프레임을 3개 유형(기술 프레임, 문화 프레임, 시스템 프레임) K-방역평가 를 2개 유형(고, 저)으로 분류한 뒤, 공중들의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행동에 대한 온라인 준 실험을 시행하였다. 온라인 준 실험은 국내 거주하는 성인 300명을 대상으로 전문 조사회사를 통해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K-방역평가에 부정적인 공중이 기술 프레임의 보도를 접할 경우,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방역평가에 긍정적인 공중은 문화 프레임 보도를 접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모든 유형 에서 K-방역평가와 보도프레임이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이에서 집단 나르시시즘이 유의미 한 간접 효과를 보였다. K-방역평가에 부정적인 공중이 문화 프레임 보도와 시스템 프레임 보도를 접하는 경우를 제외하면 자국명성 또한 변인들 사이에서 유의미한 간접 효과를 보였다. 결론 및 함의 오프라인에 비해 행동을 취하는 것이 더 쉽다고 여겨지는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행동일지라도 심리적 매개 요인들 을 통해 공중의 행동이 유도된다는 것을 집단 나르시시즘과 자국명성의 이중 매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도출된 것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정책 연구 및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행동 연구에 있어 공중의 심리적, 인지적 영향 요인을 포괄적으로 검토하고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학문적, 실무적 의의를 가진다.

목차

요약
서론
이론적 배경
SOR이론
K-방역평가
보도 프레임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행동
집단 나르시시즘
자국명성
집단 나르시시즘과 자국명성의 매개 효과
연구 문제 및 연구 모형
연구 방법
실험 자극물의 설계
연구 대상 및 자료 수집 절차
주요 변인의 조작적 정의
분석 결과
기초 분석
주요 변인의 신뢰도
연구문제 분석 결과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곽경린 Kyunglin Gwak.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석사과정
  • 김지하 Jiha Kim.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과 석사과정
  • 이준희 JunHee Lee. 이화여자대학교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