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작업치료 전공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진로태도성숙의 관계에서 전공역량의 매개효과분석

원문정보

The Mediating Effects of Major Competency on Relations between the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of Occupational Students

홍소영, 김희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major competency on the association between the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of occupational students. Methods : The subjects were 177 students who had completed occupational majors at K University. The research period was from September 5 to 20, 2023.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tested using SPSS PROCESS 4.3 Macro using the bootstrapping method. Results :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tudents showed a mean of 4.13 points in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3.58 points in their career maturity, and 3.71 points in major competency.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students’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their career maturity, and major competency. In addition, their major competency produc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and their career maturity and the higher the major competency and career maturity, the higher the major satisfaction. Conclusion :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vitalize the curriculum that enhances major competency in order to increase major satisfaction.

한국어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 전공학생의 전공만족도, 진로태도성숙, 전공역량 간에 관계가 어떠한지 알아보고, 전공역량 이 전공만족도와 진로태도성숙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검증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연구기간은 2023년 9월 5일부터 9월20일까지 이었고 분석대상은 B지역 K대학 작업치료 전공학생 177명이 었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적 통계, t-test, ANOVA, 피어슨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bootstrapping 방법을 이용하는 SPSS PROCESS 4.3 Macro 을 사용하여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결과 : 작업치료 전공학생들의 전공만족도 평균은 4.13±0.61점, 진로태도성숙 평균은 3.58±0.48점, 전공역량 평균은 3.79±0.61점이었고 전공만족도, 진로태도성숙, 전공역량 간의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전공만족도와 진로태도성숙간의 관계에서 전공역량은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내었고 전공역량과 진로태도성숙도가 높을수록 전공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 : 따라서 전공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전공역량은 유의미한 매개변인으로 역량을 증진시키는 교육과정의 활성화 가 필요하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 연구도구
3. 자료 분석
Ⅲ. 연구 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공만족도, 진로태도성숙, 전공역량
3. 대상자의 전공만족도, 진로태도성숙, 전공역량의 정도
4. 대상자의 전공만족도, 진로태도성숙, 전공역량간의 상관관계
5. 대상자의 진로태도성숙, 전공역량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6. 대상자의 전공만족도와 진로태도성숙간의 관계에서 전공역량의 매개효과 검증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홍소영 Hong, So-Young. 고신대학교 의료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김희정 Kim, Hee-Jung. 고신대학교 의료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