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보호자와의 의사소통이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The Effect of Communication with a Protector on Job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 at Dementia Care Center

김동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how the degree of communication between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at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protectors of dementia patients affects the job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Methods : From December 2022 to February 2023, a survey was conducted on 68 occupational therapists at the Dementia Care Center who met the selection criteria on communication with protectors, job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impact of communication with protectors on job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Resutls :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ork experience in the comparison of job commitmen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occupational therapists at the Dementia Care Center.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ork experience in the comparison of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Dementia Care Center occupational therapists, and the more work experience,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Third, communication with dementia patient protectors at the Dementia Care Center was found to affect both job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Conclusion : The organizational environment of occupational therapists, which is a legal manpower in the Dementia Care Center, a state-sponsored dementia institution, can have an important impact on the job performanc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communication, one of the essential factors related to the job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affects job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For dementia patients with reduced cognitive function,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with their protectors was considered in the job of occupational therapy, and the necessity of operating an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of an institution that can promote positive improvement in communication.

한국어

목적 : 본 연구는 치매안심센터에 근무하고 있는 작업치료사와 치매질환자 보호자와의 의사소통 경험 및 정도가 작업 치료사의 직무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22년 12월부터 2023년 2월까지 선정기준에 부합한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 68명을 대상으로 보호자와의 의사소통, 직무몰입, 직무만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보호자와의 의사소통이 직무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 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 첫째,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몰입의 비교에서는 근무경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의 비교에서는 근무경력에서 유의미한 차이 가 있었고 근무경력이 많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았다. 셋째, 치매안심센터 치매질환자 보호자와의 의사소통은 작업치 료사의 직무몰입 및 직무만족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국가지원 치매기관인 치매안심센터에 법적 인력인 작업치료사의 조직환경은 작업치료사의 직무역할 수행에 중 요한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작업치료사의 직무와 관련 된 필수요소 중 하나인 의사소통이 직무몰입과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인지기능이 저하된 치매질환자의 경우 보호자와의 의사소통의 중요성 을 작업치료 직무에서 고려할 사항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의사소통의 긍정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기관의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 운영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도구
3. 분석방법
Ⅲ. 연구 결과
1.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몰입의 비교
2.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의 비교
3. 보호자와의 의사소통과 직무몰입, 직무만족의 상관관계
4. 보호자와의 의사소통이 직무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Ⅳ. 고찰
Ⅴ. 결론
ACKNOWLEDGMENTS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김동현 Kim, Dong-Hyun. 김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