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비정형 빅데이터를 이용한 치면열구전색 (치아홈메우기)에 대한 인식분석

원문정보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Pit and Fissure Sealant using Unstructured Big Data

조한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overall perception of pit and fissure sealants and suggest methods to revitalize their current stagnation. Methods: To determine the social perception of the change in coverage policy for pit and fissure sealants, we categorized them into five time periods. The first period (December 1, 2009 to November 30, 2010), the second period (December 1, 2010 to September 30, 2012), the third period (October 1, 2012 to May 5, 2013), the fourth period (May 6, 2013 to September 30, 2017), and the fifth period (October 1, 2017 to December 31, 2022). We utilized text mining, an unstructured big data analysis method. Keyword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Textom, and the frequency analysis of the top 30 keywords, structural features of the semantic network, centrality analysis, QAP correlation analysis, and co-occurrence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The frequency analysis showed that the top keywords for each time period were ‘Cavities’, ‘Treatment’, and ‘Children’. In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semantic network of pit and fissure sealants by time period, the density index was found to be around 1.00 for all time periods. The QAP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eriods and the fourth and fifth periods with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0.834. The co-occurrence analysis showed that ‘cavities’ and ‘prevention were the top two words across all time periods.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pit and fissure sealants are well accepted by the society as a preventive treatment for caries. However, the awareness of health education related to these sealants was found to be low. Efforts to revitalize stagnant pit and fissure sealants need to be strengthened with effective education.

한국어

연구배경: 본 연구는 치면열구전색(치아홈메우기)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현재 정체되어 있는 치면 열구전색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치면열구전색 보장성 정책의 변화에 따른 사회적 인식을 확인하고자 5개 차수로 시기를 분류하였 다. 1차시기(2009.12.1.∼2010.11.30.), 2차시기(2010.12.1.∼2012.9.30.), 3차시기(2012.10.1.∼2013.5.5.), 4차시기 (2013.5.6.∼2017.9.30.), 5차시기(2017.10.1.∼2022.12.31.)로 각각 설정하였다. 비정형 빅데이터 분석방법인 텍스트 마이닝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텍스톰을 사용하여 키워드를 수집 및 분석하였으며, 상위 키워드 30개의 빈도수, 의미 연결망의 구조적 특징, 중심성 분석, QAP 상관분석 및 동시출현 단어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빈도분석 결과 시기별로 상위권에 속한 키워드는 ‘충치’, ‘치료’, ‘어린이’ 등이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치 면열구전색의 시기별 의미연결망 구조적 특징에서 밀도지수는 모든 시기별 약 1.00으로 확인되었다. QAP 상관 분석결과 1차시기와 2차시기, 4차시기와 5차시기의 상관계수가 0.834로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다. 동시출현 단 어분석결과 모든 시기에 걸쳐 ‘충치’와 ‘예방’이 1위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치면열구전색은 충치예방을 위한 술식과 예방치료로써 사회적 인식이 잘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보건교육에 대한 인식은 낮았다. 정체된 치면열구전색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교육 을 강화해 나가야 하는 노력이 필요하겠다.

목차

1. 서론
2. 연구대상 및 방법
2.1. 연구대상
2.2. 데이터 수집
2.3. 연구방법
3. 연구 결과
3.1. 치면열구전색(치아홈메우기)의 시기별 상위 키워드 빈도분석
3.2. 치면열구전색(치아홈메우기)의 시기별 의미연결망 간 구조적 특징
3.3. 치면열구전색(치아홈메우기)의 시기별 연결중심성 분석
3.4. 치면열구전색(치아홈메우기)의 시기별 QAP 상관분석
3.5. 치면열구전색(치아홈메우기)의 시기별 상위 동시출현 단어분석
4. 고찰
References
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조한아 Han-A Cho. 신한대학교 치위생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