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치과 임플란트와 전신질환과의 연관성에 관한 임상적 고찰

원문정보

A Clin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ntal Implant and Systemic Disease

한양금, 윤미숙, 김한홍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Background: In order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linical dental hygienists-led dental hygiene management processes for those with systemic diseases, we tried to identify systemic diseases affecting dental implants based on clinical data. Methods: In order to identify systemic diseases affecting dental implants,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from March 1 to May 31, 2023, and the search period was for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and foreign academic journals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20. Domestic databases used for search use RISS, Nuri Media(DBpia), and Korea Academic Information (http://www.papersearch.net ; KISS), while overseas databases searched Pubmed for dental implant failures, implants, systemic diseases, and Dental implant and system disease. Results: The cumulative survival rate of implants averaged 94.3 percent and the failure rate was 5.7 percent. Clinical analysis of systemic diseases related to implants accounted for the highest frequency with 13 (100.0%), followed by 8 (61.5%) studies on high blood pressure and smoking, 7 (53.8%) cardiovascular diseases, and 5 (38.5%). In addition, liver disease, thyroid abnormalities, blood abnormalities, organ transplants and infectious diseases were confirmed. Conclusion: Since unregulated systemic diseases are a risk factor for implant failure, clinical dental hygienists should continue to maintain healthy oral conditions by sharing information with patients during periodic preventive dental hygiene management processes such as dental hygiene assessment.

한국어

연구배경: 전신질환을 보유한 대상자를 위한 임상치과위생사 주도의 치위생관리과정에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자 임상적 자료를 근거로 치과 임플란트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전신질환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치과 임플란트에 영향을 미치는 전신질환을 파악하고자 2023년 3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문헌고찰 을 실시하였으며, 검색 시기는 2000년 1월∼2020년 12월까지 국내ㆍ외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 논문을 대상으 로 하였다. 검색에 활용된 국내 database는 학술정보서비스(RISS), 누리미디어(DBpia), 한국학술정보(http://www. papersearch.net;KISS)를 활용하였으며, 국외 database는 Pubmed에서 ‘치과 임플란트 실패’와 ‘임플란트와 전신질환’ 그리고 Dental implant failures와 Dental implant and systemic disease를 검색하여 전체 383편 중 최종적으로 13편의 자료를 선별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임플란트의 누적생존률은 평균 94.3%이었으며 실패율은 5.7%이었다. 임상적으로 임플란트와 관련된 전신 질환에 대한 분석결과는 당뇨에 대한 연구가 13편(100.0%)으로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하였으며 고혈압과 흡연에 대한 연구가 각각 8편(61.5%), 심혈관질환 7편(53.8%), 골관련 질환은 5편(38.5%) 순으로 위험요인이 조사되었다. 그 외 간질환 및 갑상선 이상 그리고 혈액이상 질환과 장기이식 및 감염성 질환 등이 확인되었다. 결론: 임상 치과위생사는 조절되지 않는 전신질환은 임플란트 실패의 위험요인이므로 전신질환이 임플란트에 미 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과 치위생 사정-판단-수행-평가 등의 주기적인 예방적 치위생관리 과정에서 환자와의 정 보공유로 지속적으로 건강한 구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목차

1. 서론
2. 연구대상 및 방법
2.1 연구설계
2.2. 자료 선정 및 제외기준
2.3 자료수집과 분석
3. 연구결과
3.1 연구대상 문헌의 일반적 특성
3.2 문헌에서 도출된 치과 임플란트와 연관된 전신질환
3.3 문헌에서 도출된 전신질환과 치과 임플란트의 연관된 주요 연구결과
4. 고찰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저자정보

  • 한양금 Yang-Keum Han. 대전보건대학교 치위생(학)과
  • 윤미숙 Mi-Sook Yoon. 신한대학교 치위생학과
  • 김한홍 Han-Hong Kim. 혜전대학교 치위생(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