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formation of dental hygienist images based on the pathways of obtaining occupational information and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the correct perception and positive promotion of the dental hygienist profession. Methods: A survey was distributed to 305 college preparatory stud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34 items, including general characteristics(3 items), pathway-related questions(3 items), dental hygienist image-related question(2 1items), application-related questions(2 items), and admission-related questions(5 items). The images of dental hygienists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perception pathways, and admission were analyzed using the Mann-Whitney U test and Kruskal-Wallis test. Results: The survey results from all participants showed that the overall image of dental hygienists was 3.75 points. Personal image scored the highest at 4.18 points, while social image was the lowest at 3.20 points(p<0.05). The overall image of dental hygienists was higher for the ‘online’ group (3.88) compared to the ‘offline’ group,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among groups in overall, personal, and professional images(p<0.05). The overall image of dental hygienists was higher for those who learned offline (3.87), and the on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seen in the personal image. When it came to admission, the ‘admitted’ students gave a higher overall score (4.00) compared to ‘non-admitted’ students (3.64), with significance found in all areas except for social image (p<0.05). Conclusion: It is believed that effective utilization of online pathways can inform more people about the importance and expertise of dental hygienists, thereby contributing to promoting oral health and enhancing the perception of the profession. Properly valuing and educating about the role of dental hygienists through promotion and education can help improve the image of the profession.
한국어
연구배경: 본 연구의 목적은 직업정보를 얻는 경로에 따라 치과위생사 이미지 형성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파 악하고, 치과위생사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직업 이미지 긍정화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수도권 지역의 대입 준비생 305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설문 내용은 일반적 특성(3문항), 경로 관련 문항(3문항), 치과위생사 이미지 관련 문항(21문항), 앱 관련 문항(2문항), 진학 관련 문항(5문항), 총 34 문항으로 작성되었다. 일반적 특성, 인식 경로 및 진학 여부에 따른 치과위생사의 이미지는 Mann-Whitney의U 검정, kruskal-wallis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대상자 전체를 대상으로 치과위생사에 대한 전체 이미지는 3.75점으로 나타났고, 개인적 이미지 (4.18점)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적 이미지(3.20점)가 가장 낮았다. 치과위생사 인식경로에 따른 치과위생사 전체 이미지는 ‘온라인’(3.88점)이 높게 나타났고, 전체 이미지, 개인적, 업무적 이미지에서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 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정보획득 경로에 따른 치과위생사 전체 이미지는 ‘오프라인’(3.87점)이 높게 나타났 으며, 세부 영역 중 개인적 이미지에서만 집단 간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진학 여부에 따른 치과위생사 전체 이미지는 ‘진학(4.00점)’이 ‘비진학(3.64점)’보다 높았고, 사회적 이미지를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결론: 온라인 경로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면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치과위생사의 중요성과 전문성을 알릴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를 통해 구강건강 증진에 기여하는 치과위생사의 역할을 올바르게 인식하고, 직업의 가치를 홍보하고 교육함으로써 이미지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목차
2. 연구 대상 및 방법
2.1. 연구 대상 및 방법
2.2. 연구 도구
2.3. 통계분석
3. 결과
3.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과위생사 이미지 점수
3.2. 인식경로(온/오프라인)에 따른 치과위생사 이미지 점수
3.3. 진학관련 요인에 따른 치과위생사 이미지 점수
4. 고찰
References
초록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