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자유 주제

기형도 시에 구현된 헤테로토피아의 알레고리

원문정보

The Allegory of Heterotopia as Realized in the Poetry of Gi Hyeong-do

이지원, 김민옥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Focusing on Michel Foucault’s theory of heterotopia, this paper aims to reveal how the allegory of heterotopia is embodied in the poetry of Gi Hyeong-do. Gi Hyeong-do’s poetry is characterized by the deconstruction of social conventions of physical space and the placement of disparate places as allegories. Going beyond the poetic conventions of the time and revealing the ‘space-being’ relationship, allegory is not only a way to project the poet’s consciousness, but also the foundation for building a unique poetic world. Gi Hyeong-do employs the allegory of heterotopia in his poems to return exhausted beings dominated by urban space to their eternal resting place. The characteristic allegorical aspects of Gi Hyeong-do’s poems are “the hiding place of the ruined body: the coat,” “the intersection of despair/hope: the road and the street,” and "the circular haven: the ovary and the seed.” All of these are counter-spaces to the urban space that fragments existence, and aim for a primordial sanctuary to which existence should return. Heterochronia, which deconstructs the traditional concept of time, appears as a major way of subverting urban space as a result of Gi Hyeong-do’s poetic violation. In particular, the poetic violation of bouncing the seeds vigorously toward the heavens instead of burying them in the ground to achieve a qualitative shift in existence is a poetic strategy that embodies heterotopia as a way for Gi Hyeong-do to project hope and a haven in the midst of reality. The allegory of heterotopia that Gi Hyeong-do deploys in his poems is not only aesthetically pleasing, but also has the power to effect change. The reason Gi Hyeong-do’s poetry is still relevant in our time is that he constantly sings of the hope to awaken us to the realities of life that urban spaces conceal, and to return the weary beings trapped by urban desires to an eternal haven. This is the unique characteristic and orientation of Gi Hyeong-do’s poetry, and the evidence that it is not trapped in a negative worldview.

한국어

본고는 미셸 푸코의 헤테로토피아론을 중심으로 기형도 시에서 헤테로 토피아의 알레고리가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밝히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기형도는 물리적 공간에 대한 사회적 통념을 해체하고 이질적인 장소를 알레고리로 배치하는 특성을 보여준다. 당대의 시적 관습을 뛰어넘어 ‘공 간-존재’의 관계를 드러낸 알레고리는 시인의 의식세계를 투영하는 방편 일 뿐 아니라, 독특한 시세계를 구축하는 토대이다. 기형도는 도시 공간에 지배된 피폐한 존재를 영원한 안식처로 재귀시키기 위해 헤테로토피아의 알레고리를 시 안에 장치한다. 기형도 시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알레고리 양상은 ‘폐허가 된 몸의 은신처 : 외투’, ‘절망/희망의 교차점 : 길과 거리’, ‘원형(圓形)의 안식처 : 씨 방(씨房)과 씨앗’이다. 이 모두는 존재를 파편화하는 도시 공간에 대한 반 (反)공간이자, 존재가 재귀해야 할 원초적 안식처를 지향한다. 이때 전통 적인 시간 개념을 해체하는 헤테로크로니아는 기형도의 시적 위반에 따 른 것으로서 도시 공간을 전복시키는 주요 방편으로 나타난다. 특히 씨앗 을 땅에 묻지 않고 천상을 향해 힘차게 튕겨 오르게 함으로써 존재의 질적 전환을 꾀하는 시적 위반은, 기형도가 희망을 쏘아 올리는 방식이자 현실 속에서 안식처로서의 헤테로토피아를 구현하는 시적 전략이다. 기형도가 시 안에 배치한 헤테로토피아의 알레고리는 그 자체로 미적 특질을 갖추고 있을 뿐 아니라, 어떤 변화를 일으키는 힘을 내장하고 있 다. 기형도 시가 지금 이 시대에도 여전히 유효한 이유는 도시 공간이 은 폐하는 삶의 실상을 우리에게 각성시키고, 도시의 욕망에 갇힌 피폐한 존 재를 영원한 안식처로 재귀시키려는 희망을 끊임없이 노래했다는 데 있 다. 바로 이것이 기형도 시가 전유하는 특질이자 지향점이며, 그의 시세계 가 도저한 부정적 세계관에 갇히지 않았다는 근거이다.

목차

<국문개요>
1. 서론
2. 폐허화된 몸의 은신처 : ‘외투’
3. 절망/희망의 교차점 : ‘길’과 ‘거리’
4. 원형(圓形)의 안식처 : ‘씨방’(씨房)과 ‘씨앗’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지원 Lee, Ji-weon. 충북대학교, 교양교육본부 초빙교수
  • 김민옥 Kim, Min-ok. 부산외국어대학교, 만오교양대학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