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Effect of Attitudinal Factors on Stated Preference of Low-carbon Transportation Services
초록
영어
In response to the growing global concern for the environmen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recently committed to achieving 'carbon neutrality.' As a result, numer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mode choice models that include carbon emissions as a variable. However, few studies have established a correlation between individual preferences and carbon emissions. In this study, a new mode of transportation named sustainable public transit (SPT), incorporating carbon-reducing transport options like electric scooters, is proposed. Analyzing the individual preferences of commuters on carbon emissions through factor analysis, a stated preference (SP) survey was conducted. A mode choice model for SPT was constructed using multinomial logit model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gender, income, and specific preferences, such as a passion for exploring new routes, a preference for intermodal transfers, knowledge of carbon reduction, and carbon reduction practices, significantly influence latent preferences for SPT. Theref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considers carbon emissions as an attribute variable during the construction of mode choice models and reflects the individual preference variables associated with carbon reduction.
한국어
최근 전세계적으로 환경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국제사회가 ‘탄소중립’을 선언하면서 ‘탄소’ 를 고려한 다양한 수단선택모형 연구가 실시되고 있으나, 탄소에 대한 개인성향을 반영한 연 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탄소저감형 이동수단(전동킥보드 등)을 포함한 대중교통 서비스로 SPT(Sustainable Public Transit)라는 새로운 수단을 제시하고, 수도권 통근자 를 대상으로 실시한 SP(Stated Preference)조사를 활용하여 요인분석을 통해 응답자의 탄소에 대 한 개인성향을 분석한 후, 다항로짓모형을 활용하여 SPT에 대한 수단선택모형을 구축하였다. 분석 결과, SPT 잠재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성별, 소득, 개인성향(‘새로운경로 탐색에 대한 열정’, ‘수단간 환승 선호’, ‘탄소저감지식’, ‘탄소저감실천’) 변수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 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단선택모형 구축시 수단의 속성변수로 탄소배출량을 선정하거나, 탄 소저감과 관련한 개인성향 변수를 구축했다는 부분에서 의의가 있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선행연구검토
1. SP조사 자료를 활용한 수단선택모형에 관한 연구
2. 개인성향을 고려한 수단선택모형에 관한 연구
3. 선행연구 검토를 통한 시사점
Ⅲ. 자료수집
1. 표본특성
2. 개인성향조사
3. 잠재선호실험설계
Ⅳ. 분석방법론
1. 요인분석
2. 다항로짓모형
Ⅴ. 분석 결과
1. 요인분석결과
2. 다항로짓모형추정결과
Ⅵ. 결론 및 연구의 한계점
ACKNOWLEDGEMENTS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