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통모형

활동기반 교통수요 모델링을 위한 투어기반 통행분석 및 보정방안

원문정보

Tour-based Personalized Trip Analysis and Calibration Method for Activity-based Traffic Demand Modelling

유예지, 강희찬, 유승모, 오태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is shaping the future of personalized travel, encouraging personalized travel, and traffic impact could be influenced by individualized travel behavior during the transition of driving entity from human to machine. In order to evaluate traffic impact, it is necessary to estimate the total number of trips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individual travel characteristics. The Activity-based model(ABM), which allows for the reflection of individual travel characteristics, deals with all travel sequences of an individual.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ravel and travel must be important for assessing traffic impact using ABM. However, the ABM has a limitation in the data hunger model. It is difficult to adjust in the actual demand forecasting. Therefore, we utilized a Tour-based model that can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vels based on household travel survey data instead. After that, vehicle registration and population data were used for correction. The result showed that, compared to the KTDB one, the traffic generation exhibited a 13% increase in total trips and approximately 9% reduction in working trips, valid within an acceptable margin of error. As a result, it can be used as a generation correction method based on Tour, which can reflect individual travel characteristics, prior to building an activity-based model to predict demand due to the introduction of autonomous vehicles in terms of road operation, which is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한국어

자율주행기술의 발달은 점차 개인화된 통행을 유도하며, 자율주행차량으로의 전환으로 인 한 도로운영 측면에서 교통 영향력은 개인차량을 이용한 수요에 의해 가장 큰 영향력을 받는 다. 따라서, 교통 영향력 검토를 위해서는 개인통행특성 이해를 기반한 통행발생량 산정이 필 요하다. 개인 통행특성 반영이 가능한 Activity-based model(ABM)은 개인의 모든 이동을 다루므 로 통행과 통행 사이의 관계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하지만, ABM은 실제 수요예측에 서 데이터 구득문제와 같이 많은 한계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구통행실태조사자료 를 기반으로 통행간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Tour-based 모형을 활용하였다. 또한, 샘플조사 자 료의 전수화를 위해 차량등록대수 및 인구수 데이터를 활용하여 개인차량발생량 보정방안을 제시하였다. 통행발생량 분석결과, KTDB와 비교하였을 때 본 연구에서 전체통행발생량은 약 13% 높았으며, 업무통행의 경우 약 9% 차이로 합리적인 오차수준으로 분석되었다. 결과적으 로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인 도로운영 측면의 자율주행차량 도입에 따른 수요예측을 위해 Activity-based 모형 구축에 앞서 개인통행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Tour를 기반으로 발생량 보정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개요
Ⅱ. 선행연구 고찰
1. 4단계 수요 추정 모형
2. Activity-based 모형
Ⅲ. 방법론
1. 데이터 전처리
2. 전체통행량 추정을 위한 보정방안
Ⅳ. 결과
1. 가구통행실태조사자료 기반 통행발생 및 분포분석결과
2. 대전시 인구통행 특성분석
3. 전체통행량 보정결과
Ⅴ. 결론
ACKNOWLEDGEMENTS
REFERENCES

저자정보

  • 유예지 Yegi Yoo. 한국과학기술원 조천식모빌리티대학원 연구원
  • 강희찬 Heechan Kang. 한국교통안전공단 모빌리티플랫폼처 연구위원
  • 유승모 Seungmo Yoo. 연세대학교 기술정책대학원 과정
  • 오태호 Taeho Oh. 한국과학기술원 조천식모빌리티대학원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