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일본 음악시장에서의 K-POP 흥행요인 연구 : 디지털 스트리밍 시장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K-pop Success Factors in the Japanese Music Market : Focusing on the Digital Streaming Market

코무라 미사토, 임성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success factors of K-POP in the Japanese digital music market where the streaming-oriented consumption emerges. Based on previous studies, nine independent variables were identified: singer's gender, title song status, production company's capabilities, star power (SNS influence), Japanese lyrics, presence of Japanese member(s), Japanese TV music program appearance, Japanese advertisement/OST appearance, and initial chart success. For the empirical analysis, a total of 309 K-pop songs that entered the Spotify Japanese weekly chart at least once during the 266 weeks from August 25, 2017 to September 29, 2022 were sampl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singer's gender, title song status, star power (SNS influence), and initial chart succ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song’s performance(period of stay on the chart). This study is one of the few studies that quantitatively analyzed the success factors of K-POP in the Japanese music market, and is expected to help establish effective strategies for K-POP to enter the Japanese market.

한국어

본 연구는 일본 음악시장도 CD 등 음반에서 스트리밍 중심인 디지털로 바뀌어 가고 있는 시점에서 일본 K-POP 시장에서의 흥행요인을 실증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가수의 성별, 타이틀곡 여부, 제작사의 역량, 스타파 워(SNS 영향력), 일본어 가사 여부, 일본인 멤버 여부, 일본 음악방송 출연 여부, 일본 광고/OST의 영향, 초기 흥행성 과 등 9개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였고, 종속변수는 음원의 흥행성과(차트 상주기간)로 설정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Spotify 일본 주간차트에 2017년 8월 25일부터 2022년 9월 29일까지 266주 동안 한 번이라도 진입한 K-POP 음 원 총 309곡을 표본으로 삼았다. 분석 결과, 가수의 성별, 타이틀곡 여부, 스타파워(SNS 영향력), 초기 흥행성과가 음 원의 흥행성과(차트 상주기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일본 음악시장에서 K-POP의 흥행요인을 정량적으로 분석한 소수의 연구중 하나로서 K-POP의 일본시장 진출전략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국문 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배경
1. 일본 디지털 음악시장과 K-POP의 일본시장 진출 현황
2. 음악상품 흥행요인에 대한 고찰
Ⅲ.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1. 연구모형
2. 연구가설
Ⅳ. 연구 방법
1. 표본설정과 자료수집
2. 변수의 조작적 정의
Ⅴ. 연구 결과
1. 기초통계량 분석
2. 변수 간 상관관계
3. 가설 검증
Ⅵ. 결론
1. 연구결과 요약 및 시사점
2.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코무라 미사토 Komura Misato.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석사
  • 임성준 Limb, Seong-Joon. 중앙대학교 경영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