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Study on the Efficiency of Korean Savings Banks Using DEA : Focusing on Asset Size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how the efficiency of 76 domestic savings banks differs by asset size after the pandemic using DEA. The number of employees, tangible assets, and interest cost were selected as input variables, and operating revenue(sales) and net income were selected as output variables. As a result of examining, it was found that Extra Large savings banks with assets of more than 3 trillion won had the highest TE, PTE and SE, which is in line with the recent expansion of savings banks. It shows that there are results and that there is a need for continued enlargement. In addi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only SE, small savings banks showed a scale inefficiency of 18.56%, showing that there is a need to increase the asset size of small savings banks. This paper is the first study to examine the efficiency of savings banks by subdividing their asset size into Extra Large, Large Medium, and Small.
한국어
본 논문의 목적은 자료포괄분석방법을 이용하여 국내 76개의 저축은행에 대하여 팬데믹이후의 경영효율 성이 자산규모별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연구하는 것이다. 투입변수로 종업원수, 유형자산, 이자비용을, 산출변 수로 영업수익과 당기순이익을 선정하였다. 분석결과 기술효율성, 순수기술효율성, 규모효율성 모두 자산 3조이상 인 초대형 저축은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최근 저축은행의 대형화에 따른 성과가 있고, 계속적인 대형화의 필요성이 있음을 보인다. 또한 규모효율성만을 살펴본 결과, 소형저축은행이 18.56%의 가장 큰 규모의 비효율을 보여, 소형 저축은행의 자산규모확대가 필요하다는 결과를 보였다. 본 논문은 저축은행의 자산규모를 초대형, 대형, 중형, 소형으로 세분화하여 경영효율성을 살펴 본 최초의 연구이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2.1 DEA이론
2.2 기존문헌연구
Ⅲ. 연구방법
3.1 국내 저축은행의 현황
3.2 투입변수와 산출변수의 선정
Ⅳ. 분석결과
4.1 자료 및 기초통계량
4.2 규모에 따른 DEA 분석결과
Ⅴ. 결론
5.1 요약 및 결론
5.2 시사점 및 한계점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