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MZ세대 대학생들의 서비스러닝 프로그램 참여 효과 분석

원문정보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MZ Generation University Students' Service Learning Program Participation

심현애, 박선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service learning operation targeting MZ generation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purpose, 95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 service learning program for one semester were tested on their sense of community participation, self-efficacy for volunteer work, and recognition of group creativity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here were 74 students who responded faithfully to both the pre-test and post-test, and the results of the paired-sample t-test conducted on them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of community participation among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service learning improved. Specifically, significant changes were found in all three subfactors: social responsibility, individual influence on community issues, and feeling connected to the community. Second, the self-efficacy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as found to have improved. Both sub-factors of confidence in community volunteer work and self-regulation efficacy showed significant changes. Third, there was no change in the overall perception of group creativity, but conflicting patterns appeared for each subfactor. There was significant improvement in creative problem solving.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post-average mean score for divergent thinking ability was high,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lack of participation time was cited as the reason for such a result. Additional discussions and suggestions were presented.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MZ 세대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서비스러닝의 운영 효과를 구체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었다. 이를 위하여 한 학기 동안 서비스러닝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 95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참여 전과 후 에 지역사회 참여의식, 봉사활동에 대한 자기효능감, 집단 창의성 인식에 대해 검사하였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 모두 성실하게 응답한 학생은 74명이었으며, 이를 대상으로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비스러닝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지역사회 참여의식이 향상되었다. 하위요인별로는 사회적 책임감, 지역사회 문제 에 대한 개인의 영향, 지역사회와 연결되어 있다는 느낌의 세 가지 하위요인에서 모두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봉사활동에 대한 자기효능감도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사회 봉사활동 에 대한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의 두 가지 하위요인에서 모두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 셋째, 집단 창의성 인식 전체는 변화가 없었으나 하위요인별로 상반된 양상이 나타났다. 창의적 문제해결에서는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다. 반면 확산적 사고능력은 사후 평균점수가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았는데, 그러한 결과를 가져온 이유에 대해서 참여시간의 부족이 거론되었다. 그밖에 추가적인 논의와 제언이 제시되었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서비스러닝의 개념과 유형
2.2 대학의 서비스러닝 운영 사례
2.3 대학의 서비스러닝 효과 분석
Ⅲ. 연구 방법
3.1 연구 대상 및 연구 설계
3.2 자료 수집 및 분석
3.3 연구 도구
3.4 서비스러닝 프로그램 운영 방법
Ⅳ. 연구 결과
4.1 연구 대상의 일반적 특성
4.2 지역사회 참여의식에 미치는 효과
4.3 봉사활동에 대한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4.4 집단 창의성 인식에 미치는 효과
Ⅴ.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심현애 Hyeon-Ae Sim. 선문대학교 교양학부 부교수
  • 박선희 Sun Hee Park. 한남대학교 교직부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