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Perceptions of Living Space Design for Fully Autonomous Vehicle
초록
영어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tudy to invesigate people’s perceptions of the living space in fully autonomous vehicle. Survey was conducted on 250 adults in their 20s to 60s who drive their own vehicle in Korea, and the final study subject were 204 participants who completed responses.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For the adequacy of using the four factors of mobility, adaptability, convertibility, and interactivity to evaluate the design of living space in fully autonomous vehicle, the scores of respondents were slightly higher, with an average of 3.76 points on a 5-point scale. Regarding the functions required for fully autonomous vehicle, ‘sleep and relaxation’ was the most common at 46.4% (130), followed by ‘entertainment’ at 19% (53), ‘business and meeting’ at 18.3% (51), and ‘health monitoring’ at 10.8% (30). It is expected that these study findings will be used as basis for the design of ‘living space’, a key element of fully autonomous mobility.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완전 자율주행 모빌리티의 리빙 스페이스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 이다. 국내에서 운전하는 20대∼60대 성인 250명에게 설문 조사를 하여 그중 응답을 완료한 204명을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 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완전자율주행 모빌리티 실내의 모빌리티 퍼 니처 개념에 대해 이동성, 순응성, 전환성, 상호작용성의 4가지 핵심요소를 적용하는 것이 적절한지에 대한 의견은 5점 척도 에 평균 3.76점으로 약간 높았다. 완전자율주행 모빌리티에 적용이 필요한 기능으로는 ‘수면과 휴식’이 46.4%(130)로 가장 많았으며, ‘엔터테인먼트’ 19%(53), ‘회의 및 업무’ 18.3%(51), ‘건강관리’ 10.8%(30) 순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들이 완전자 율주행 모빌리티의 핵심요소인 ‘리빙 스페이스’ 디자인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선행연구
3. 연구방법
3.1 연구설계
3.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3.3 연구도구
3.4 분석 방법
4. 연구 결과
4.1 연구참여자의 사회경제적 특성
4.2 연구참여자의 차량 및 운전 관련 특징
4.3 연구참여자의 완전 자율주행 모빌리티에 대한 인식
4.4 연구참여자의 완전 자율주행 모빌리티의 유용한 기능에 대한 인식
4.5 연구참여자의 완전 자율주행 모빌리티 퍼니처의 구조에 대한 선호도
4.6 연구참여자의 완전 자율주행 모빌리티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5.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