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헬스케어

노인건강증진을 위한 복합운동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원문정보

Verific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a combined Exercise Program for Improving the Health of the Elderly

백순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 combined exercise program to improve the health of the elderly. For this purpose, 10 people in the exercise group and 10 in the control group were selected among seniors aged 65 years or older.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12-week combined exercise program in which aerobic and anaerobic exercise were performed three times a week for 60 minutes. Before participating in exercise, blood lipid and inflammatory index tests were conducted, and blood lipid and inflammatory index tests were conducted upon completion of the combined exercise program. The test results were verified with basic statistics and treatment effects between groups us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Based on thi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the combined exercise program for elderly health promo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C, LDL, and TG in blood lipids between the exercise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on the treatment program. Second, the combined exercise program for improving the health of the elderl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flammatory indicators IL-6 and TNF-a between the exercise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with the treatment program.

한국어

본 연구는 노인건강증진을 위한 복합운동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에 있다. 이를 위해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운동 군 10명과 통제군 10명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처치프로그램은 12주간 복합운동프로그램으로 유산소운동과 무산소운동을 주 3회 60일간 실시하였다. 운동 참여 전에 혈중지질과 염증지표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복합운동프로그램을 종료하면서 혈중 지질과 염증지표 검사를 재 실시하였다. 검사결과는 SPSS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초통계와 집단간의 처치효과를 검증하 였다. 이를 기본으로 이와 같은 결과 및 결론을 얻었다. 첫째, 노인건강증진을 위한 복합운동프로그램은 운동군과 통제군의 혈중지질에서 TC, LDL, TG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처치프로그램에 대한 상호작용효과가 있었다. 둘째, 노인건 강증진을 위한 복합운동프로그램은 운동군과 통제군의 염증지표에서 IL-6, TNF-a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처치 프로그램 대한 상호작용효과가 있었다.

목차

요약ㅤ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 방법
2.1 연구대상
2.2 노인 건강증진을 위한 복합운동프로그램
2.3 복합운동프로그램 사전, 사후 검사
2.3 자료분석
2.4 연구의 제한점
3. 연구 결과
3.1 건강증진을 위한 복합운동프로그램의 혈중지질의 효과 검증
3.2 건강증진을 위한 복합운동프로그램의 염증지표의 효과 검증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백순기 Soon-Gi Baek. 중원대학교 뷰티케어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